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곤충의 날' 지정···곤충 생태관 관심 커져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곤충의 날' 지정···곤충 생태관 관심 커져

등록일 : 2019.09.18

한효재 앵커>
급속한 개발과 환경 파괴로 점차 사라져가는 곤충이 많은데요.
우리나라가 지난 9월 7일을 '곤충의 날'로 지정하면서 곤충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곤충을 직접 보고 체험도 할 수 있는 곤충생태관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데요.
박혜란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박혜란 국민기자>
도시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장수풍뎅이, 어린이들이 손으로 만져보면서 마냥 신기해합니다.
다른 어린이는 애벌레를 보면서 귀엽다고 말합니다.

현장음>
“풍뎅이 애벌레예요. 귀여워~ ”

인터뷰> 이영서 / 초등학생
“장수풍뎅이 애벌레가 있어서 되게 신기했고 만져보니까 말랑말랑해서 느낌이 좋았습니다.”

이곳은 살아있는 곤충 20여 종과 표본 40여 종이 전시돼 있는 대전 곤충생태관,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식용 곤충도 볼 수 있는데요.
단백질이 풍부한 식용 곤충으로 딱정벌레로 불리는 대왕 거저리 애벌레를 어린이들이 직접 만져보기도 합니다.
유리관 속에는 살아 있는 벌집을 만들어놨는데요.
가족 관람객이 유심히 살펴보면서 여왕벌을 찾아봅니다.

현장음>
“와! 꿀벌이다. 여왕벌 찾아봐. 주원아, 여왕벌 어디 있어?”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이곳에 배치된 청소년 곤충 해설사가 설명해줍니다.

현장음>
“1년 전에는 원래 꿀벌집들이 엄청 작았는데, 여왕벌 세력이 엄청나단 말이에요.”

인터뷰> 김환 / 청소년 곤충해설사
“어렸을 때 곤충에 대해서 흥미가 많았는데 여기 들어와서 곤충에 대해서 배울 수 있어서 좋았고 사람들에게 해설할 수 있다는 점이 좋았습니다.”

어린 자녀와 함께 찾아온 부모들은 아이들이 즐거워하는 모습에 더없이 좋아합니다.

인터뷰> 이상엽 / 대전시 중구
“살아있는 벌과 사슴벌레, 장수풍뎅이를 많이 봐서 너무 좋았고요. 아이와 함께 좋은 환경을 즐길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어린 시절 학교 앞에서 많이 봤던 곤충인 물장군, 한 어르신 관람객은 옛 추억을 떠올리며 신나게 이야기를 합니다.

현장음>
“초등학교 앞에서 장사하는 사람이 이런 양푼에다가 상품을 놓고 물장군이 가면 상품을 줬어요.”

이곳에 근무하는 곤충 전문가가 관람객들에게 도움말을 주기도 합니다.

현장음>
“환경부의 야생동물을 보호하는 법이 있습니다. 환경부에서 지정한 멸종 위기 야생동물 2급으로 되어 있어요.”

무엇보다 개발 붐으로 사라져가는 다양한 곤충을 이곳에서 접할 수 있는 것이 특징,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어른들은 모처럼 어릴 적 곤충을 보는 재미에 푹 빠집니다.

인터뷰> 장건이 / 대전시 중구
“여기 와서 보니까 옛날 어렸을 때 같은 그런 느낌이 확 드는 게 굉장히 좋구나. 옛 생각이 나면서 너무 좋았습니다.”

인터뷰> 박익규 / 대전 곤충생태관 담당 팀장
“곤충의 생태적 교육적 가치를 많이 널리 알려주고 체험 학습 프로그램도 운영하면서 곤충이 더욱더 우리 산업에 시민들과 가까이 갈 수 있는 그런 공간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습니다.”

(영상촬영: 박성애 국민기자)

올 들어 지난달까지 이곳을 찾은 관람객은 모두 18만 명,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꼽히는 곤충산업의 미래도 볼 수 있어 관람객이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올해 처음으로 '곤충의 날'이 지정되면서 관심을 끄는 이곳 곤충생태관, 우리가 잘 몰랐던 곤충에 대한 친근감을 더하면서 한층 더 사랑받는 체험 공간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국민리포트 박혜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