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무슨 뜻인가요?"···공공기관 외국어 남발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무슨 뜻인가요?"···공공기관 외국어 남발

등록일 : 2019.10.25

구민지 앵커>
패스트 트랙, 규제 샌드박스.
요즘 뉴스에서 한 번쯤 들어 보셨을 텐데요.
공공기관에서 자주 사용되는 이런 용어들은 언뜻 들어선 무슨 뜻인지 잘 모르는 사람도 많습니다.
공공기관의 외국어 남발은 한글 외면뿐 아니라 행정에 대한 이해와 소통에도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는데요.
그 실태를 김창현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김창현 국민기자>
'규제 샌드박스', '스튜어드십 코드', '제로 페이'.
행정 기관에서 경제 활성화를 위해 내놓은 정책과 관련된 용어입니다.
일상에서 자주 보고 듣게 되는 이런 외국어 정책 용어들.
시민들에게 뜻을 아는지 물었습니다.

인터뷰> 박태정 / 서울시 강서구
아니요. 제로페이의 뜻은 모르는데 많이 들어만 봐서..

인터뷰> 전향진 / 경기도 김포시
"제로페이 들어본 것 같아요. 의미는 모르겠어요."

인터뷰> 반가영 / 서울시 양촌구
"잘 모르겠어요."

'규제 샌드박스'는 '규제 유예 제도', '스튜어드십 코드'는 '투자자 행동지침' '제로페이'는 '소상공인 수수료 지원 정책'으로 바꾸어 부를 수 있습니다.
우리말로 들었을 때는 쉽게 이해가 되지만, 영어 표현의 경우 의미를 알기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인터뷰> 전향진 / 경기도 김포시
"저도 이게 무슨 의미인지 잘 모르겠는데 한국어로 표기 된다면 훨씬 이해가 빠를 것 같아요."

인터뷰> 반가영 / 서울시 양촌구
"제가 보기에도 잘 모르는 영어(단어)고 외래어인데 한국어로 바꿔서 쓰면 다른 사람들이 알기 좋을 것 같아요."

국어기본법에 공문서는 어문규범에 맞추어 한글로 작성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영어 남용은 줄어들지 않고 있습니다.
문제는 우리말로 표현할 수도 있는데 굳이 영어를 쓴다는 겁니다.

인터뷰> 홍성업 / 서울시 강북구
"어떻게 다 외래어만 쓰시는지. TV 시청하는 분들 (중에서) 어르신들도 많이 계실 것 아니겠습니까? 그런 사람들은 다 모르죠."

공공언어의 외국어 사용을 줄이기 위해 용어 개선과 우리말 순화를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지만 효과는 기대에 못 미치고 있습니다
한글문화연대가 올해 1월, 18개 행정부처에서 낸 756건의 보도자료를 조사한 결과 절반 이상이 국어기본법을 어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터뷰> 소강춘 / 국립국어원장
"만약 공공언어가 외래어나 어려운 한자어를 사용해 국민이 알 수 없다면 정책 홍보도 문제지만 국민들, 수혜자의 입장에서 바라본다면 당연히 받아야 될 혜택을 받지 못하는 소외를 당하게 될 수밖에 없죠. 국립국어원에서는 공공언어를 통합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만약 국민들이 어려운 공공언어를 발견하신다면 카메라로 찍어서 저희에게 보내주시면 저희가 개선 대상으로 선정하고 개선할 겁니다."

(촬영: 김석현 국민기자)

소중한 우리말의 가치를 지켜나가고 정책에 대한 소통과 이해를 높이기 위해 공공기관이 외국어 대신 우리 말 사용을 앞장서 실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국민리포트 김창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