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터키 쓰레기 제로 운동···페트병으로 지하철 탄다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터키 쓰레기 제로 운동···페트병으로 지하철 탄다

등록일 : 2019.11.07

한효재 앵커>
넘쳐나는 플라스틱 쓰레기로 지구촌이 몸살을 앓고 있는데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국이 다양한 아이디어를 내놓고 있습니다.
터키는 어떤 정책을 펼치고 있을까요?
터키의 쓰레기 제로 운동, 임병인 국민기자가 소개합니다.

임병인 국민기자>
이곳은 터키 이스탄불 지하철역입니다.
한 시민이 지하철역에 설치된 자판기에 빈 페트병을 넣습니다.
어떤 시민은 자루 가득 모은 페트병을 가지고 나왔습니다.
빈 페트병을 넣을 때마다 이스탄불 대중교통 카드에 금액이 충전이 됩니다.
이스탄불 주, 광역 자치단체에서 먼저 시행하고 있는 스마트 컨테이너, 폐기물 제로 프로젝트는 이렇게 빈 페트병을 넣으면 교통카드 금액을 충전해 주는 방식의 프로젝트입니다.
이스탄불의 '쓰레기 제로' 프로젝트의 하나인 폐플라스틱 재활용은 시행한지 얼마 안 됐지만, 시민들의 참여가 뜨겁습니다.

인터뷰> 제일란 / 이스탄불 시민
“집에서 페트병이 나오면 수거해 가져와 자판기에 넣습니다. 재활용 캠페인은 아주 유용하다고 생각해요. 저는 적립한 금액을 교통카드 충전이나 마트에서 쇼핑할 때 사용하고 있어요.”

이스탄불에 있는 한 초등학교, 쉬는 시간 종이 울리자 학생들이 페트병을 가지고 나갑니다.
학교 현관에 설치된 재활용 자판기 앞은 금방 학생들이 긴 줄을 섰습니다.
어린 학생들은 교사의 도움을 받아 가며 자판기에 페트병을 넣습니다.
이 학교는 지난해부터 재활용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학생들의 환경 교육도 자연스럽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에페 / 초등학생
“집에서 엄마와 같이 빈 병을 자루에 담아 자판기에 넣어요. 자연 보호에 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요.”

인터뷰> 세르필 / 티자렛 초등학교 교사
“학부모님들께서 더 많이 관심을 갖고 학생들과 함께 재활용 캠페인에 많이 동참해 주고 계십니다. 이제 학교 주변에서는 빈 병들을 찾아볼 수 없어요.”

폐기물 문제를 알리고 재활용의 생활화를 위한 폐 플라스틱 수거 자판기는 97개 초등학교와 3개 지하철역에서 시범 운영하고 있는데 시민들과 학생들의 동참으로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인터뷰> 필리즈 / 이스탄불 시청 폐기물 관리국 행정관
“이스탄불 시는 하루 대략 만 9천 톤의 폐기물이 배출됩니다. 버려지는 대량의 폐기물 가운데서 재활용을 실천하기 위해 본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됐습니다.”

1500만 명, 이스탄불 시민과 학생들이 참여하는 재활용 프로젝트는 환경 보호와 버려지는 금전적 가치까지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고 있습니다.

터키 이스탄불에서 국민리포트 임병인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