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문재인정부 2년 반, 외교 정책 성과와 과제는?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문재인정부 2년 반, 외교 정책 성과와 과제는?

등록일 : 2019.11.15

임보라 앵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이후 대화와 외교를 통해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고 4대 강국 중심 외교에서 아세안으로 외연을 확대했습니다.
문재인정부 2년 반 오늘은 지난 외교 정책 성과와 함께 앞으로의 과제를 살펴봅니다.
서울 스튜디오로 연결합니다.
명민준 앵커 나와주세요.

(출연: 김흥규 / 아주대학교 중국정책연구소장, 민정훈 / 국립외교원 미주연구부 교수)

명민준 앵커>
네, 서울 스튜디오입니다.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인 김흥규 아주대학교 중국정책연구소장, 민정훈 국립외교원 미주연구부 교수와 함께 합니다.

명민준 앵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최대 외교성과로 2018년 활발하게 진행된 남북·북미 대화를 꼽을 수 있을 것 같은데요, 대화와 외교를 통해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한 점이 가장 큰 변화였던 것 같습니다.
그 의미 어떻게 볼 수 있을까요?

명민준 앵커>
특히 한미 정상 간의 관계에 있어 문 대통령은 취임 이후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9번의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톱다운 방식의 정책 결정을 선호하는 트럼프 대통령인만큼 문 대통령의 정상외교가 성과를 거뒀던 것 같은데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명민준 앵커>
하지만 대북정책에 대한 속도차라든지 최근 주한미군 방위금 분담금 문제, 지소미아 등 한미 간 입장차가 명확히 드러나는 부분도 있습니다.
관련 과제 어떻게 보십니까?

명민준 앵커>
문 대통령은 취임 초기 일본에 ‘셔틀외교’를 제안한 바 있지만 일본 경제 도발을 기점으로 한일 관계는 매우 좋지 않은 상황입니다.
어디서부터 매듭을 풀어나가야 할까요?

명민준 앵커>
한편 한중관계는 사드 설치로 촉발되었던 최악의 위기 상황은 넘긴 것으로 평가됩니다. 사드 갈등은 문재인 정부 초기의 최대 외교과제 중 하나였는데, 이 부분에 대한 성과 어떻게 보십니까?

명민준 앵커>
하지만 2년이 지난 지금까지 중국의 경제보복은 완전히 끝나지 않았고 문 대통령은 2017년 중국을 국빈방문했지만 아직 시진핑 국가주석도 우리나라를 찾지 않고 있습니다.
한중관계 발전을 위해 어떤 전략이 필요할까요?

명민준 앵커>
문재인 정부의 외교정책 가운데 큰 변화는 기존의 4강 외교에 머물지 않고 아세안 지역과의 외교 관계를 크게 도약시켰다는 점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명민준 앵커>
아세안과의 관계를 한층 더 격상할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도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앞으로 아세안 국가들과의 외교 과제 짚어주신다면요?

명민준 앵커>
앞으로 우리 정부의 외교 정책 과제, 마무리 말씀으로 부탁드립니다.

명민준 앵커>
지금까지 김흥규 아주대학교 중국정책연구소장, 민정훈 국립외교원 미주연구부 교수와 함께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