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3일에서 10일로···남성 직장인 출산 휴가 늘어난다 [정책인터뷰]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3일에서 10일로···남성 직장인 출산 휴가 늘어난다 [정책인터뷰]

등록일 : 2019.11.29

◇ 장진아 국민기자>
여성의 육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필요한 것이 맞돌봄 문화인데요.
남성 직장인들의 출산휴가 일수가 대폭 늘어났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이현옥 과장님과 함께 이야기 나눠봅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이현옥 과장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 장진아 국민기자>
배우자 출산휴가 일수가 늘어났지요?

◆ 이현옥 과장>
네, 과거에는 3일에서 5일까지 배우자 출산휴가를 쓸 수 있었는데요, 이 중에서 3일만 유급이었습니다.
그런데 법이 개정되어서 10월 1일부터는 10일로 늘어나고 10일 모두가 유급휴가로 바뀌었습니다.

◇ 장진아 국민기자>
지난 10월부터 시행이 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이용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되나요?

◆ 이현옥 과장>
제도 시행이 얼마 되지 않아서 아직 정확한 숫자는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데요, 당초 7월 1일부터 시행 예정이었는데 법이 늦어져서 10월 1일부터 시행되게 됐습니다.
그 사이에도 굉장히 많은 분들이 전화를 주셨고 관심도가 매우 높고 다들 많이 사용하실 것 같습니다.

◇ 장진아 국민기자>
출산휴가 10일은 언제까지 청구를 해야 되는 건가요?

◆ 이현옥 과장>
기존에는 출산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청구가 되었는데, 기간이 길게 늘어남에 따라서 출산하시고 나서 90일 이내에 청구하시면 되고요, 또 분할 사용도 가능합니다.
한 번은 나누어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장진아 국민기자>
10일 모두 유급휴가인데, 기업 입장에서는 부담이 될 수 있는데 정부 지원이 있나요?

◆ 이현옥 과장>
현재 대기업에서는 3일 이상 유급으로 하시는 곳도 많습니다.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사실 기간이나 특히 급여가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중소기업 근로자에 대해서는 10일 중에서 5일분을 정부가 고용보험으로 지원하는 배우자 출산급여를 신설하였습니다.

◇ 장진아 국민기자>
지원 대상 기업은 얼마나 되나요?

◆ 이현옥 과장>
중소기업 근로자 면 다 지원이 되는데요.
연간 약 10만 명 정도 지원이 될 것으로 저희가 파악하고 있습니다.

◇ 장진아 국민기자>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는 어떻게 신청을 해야 되나요?

◆ 이현옥 과장>
가까운 고용센터에 방문하셔서 신청하셔도 되고요.
인터넷상 온라인으로도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저희가 내년부터는 모바일로도 신청하실 수 있게 준비하고 있습니다.

◇ 장진아 국민기자>
사실 배우자 출산휴가 활용률이 그렇게 높지는 않다고 생각하거든요, 왜 그렇다고 생각하시나요?

◆ 이현옥 과장>
중소기업에서는 그간의 유급휴가가 3일 정도니까 아무래도 유급휴가에 맞춰서 사용하시는 것 같습니다.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인력운용 부담이 될 수도 있고요.
또 근로자 입장에서는 급여가 줄어들 수 있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유급휴가에 맞춰서 사용하시는데, 이제 10일로 늘어나기 때문에 중소기업도 정부 지원을 받으면서 근로자들이 자유롭게 휴가 쓸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 장진아 국민기자>
출산휴가를 신청했는데, 회사에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어떻게 하나요?

◆ 이현옥 과장>
이것은 법정 휴가기 때문에 신청을 하시면 사업주는 반드시 휴가를 줘야 합니다.
만약에 이것을 지키지 않으면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회사 분위기가 녹녹치 않으실 때는 가까운 노동관서에 상담을 하시면 지방 노동관서에서 사업장 지도를 잘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장진아 국민기자>
출산 휴직과 별도로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도 확대됐다고 들었는데 자세히 설명해 주시죠!

◆ 이현옥 과장>
육아휴직 1년과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합해서 2년 동안을 사용하실 수 있게 1년의 기간이 더 늘었습니다.
육아휴직을 안 쓰는 근로자는 최대 2년까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 장진아 국민기자>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은 어떻게 사용해야 되나요?

◆ 이현옥 과장>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사용하시는 근로자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시작하고 싶으신 그 기간 30일 전에 시작 기간과 끝 그다음에 근로시간 단축을 하셔야 하니까 근로시간의 시작 시간과 끝 시간을 명확히 하셔서 사업자에게 신청하시면 됩니다.

◇ 장진아 국민기자>
네, 말씀 감사합니다.
남성이 육아에 참여할 수 있도록 여러 제도들이 시행되고 있는데요.
이런 제도가 활성화되어서 사회 전반에 맞돌봄 문화가 활성화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이현옥 과장>
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