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한국전쟁 70년, 그 날의 기억···6.25참전용사가 청년들에게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한국전쟁 70년, 그 날의 기억···6.25참전용사가 청년들에게

등록일 : 2020.06.26

1950년 6월 서로에게 총과 칼을 겨누던 한 민족.
그 처참한 상황속에서 나라를 지켜낸 사람들이 있습니다.

양철순 (90세) / 6.25참전유공자
"만20세입니다. 20세에 군에가서 내 눈으로 그 동안 보지도 못했고 느끼지도 못했던 실전상황... 만약에 전쟁이 발발한다면 다시금 총을 어깨에 메고 싸우겠다는 용기는 지금도 변함이 없습니다."

지금도 눈을 감으면 선명한 기억.
그 이야기를 다시금 꺼내어 봅니다.

(대전광역시)
올해 아흔이 된 양철순 할아버지.

양철순 (90세) / 6.25참전유공자
"군대 생활할 때 사진이 한꺼번에 다 어디 갔어."

70년 전 그 날을 떠올리면 마음이 무겁습니다.

양철순 (90세) / 6.25참전유공자
"사실 실전상황을 다 이야기하다 보면 말로 표현하기가 어렵죠."

'눈을 감으면 떠오르는 가슴 시린 한국전쟁의 기억’

인터뷰> 양철순 (90세) / 6.25참전유공자
"고랑포 고지까지 갔을 때 그 노상에서 쭉 보면 부서진 전차 자동차 또 때에 따라서는 하천에 시체가 팔만 비치는 그런 것도 있었고...(비참한 상황을 보면) 총각들은 크게 두려움이 없는데 가족을 가진 사람들은 아, 내가 만약에 죽었을 때는 저런 상황이 아닐까 또 가족이 (저렇게 되지 않을까)..."

어느날 갑자기 눈앞에 펼쳐진 잔혹한 풍경.
뒤늦게 어린 청년들이 총을 익혀 전장에 투입되었지만 두려움과 외로움은 감출 수 없었습니다.

인터뷰> 양철순 (90세) / 6.25참전유공자
"밥이라고 뚜껑에다가 미국 스푼으로 세 숟가락 밖에 안됩니다. 건더기는 하나도 없고 초원에서 수집해온 시래기 국에다가 주는데 배가 고파서... 운반하는 밥을 훔쳐서 먹는 그런 상태에서 훈련을 받았고 같이 부대에 있으면서 옆에서 전우가 죽어가는 것 그걸 봤을 때는 과연 나도 앞으로 살아서 고향에 갈 수 있을지 살아서 마지막까지 인생을 살 수 있을지 그런 느낌을 가졌습니다."

가장 많은 희생자가 발생한 휴전 무렵, 더 많은 영토를 빼앗기 위한 처참한 상황이 계속되었습니다.
어린 병사들이 할 수 있는 것은 나라를 지켜야 한다는 마음뿐이었습니다.

인터뷰> 양철순 (90세) / 6.25참전유공자
"3년 동안 가장 치열했던 전쟁이 휴전 무렵입니다. 1953년도 제가 부상당해서 수도육군병원을 갔을 때 병실이 없어서 전부 광장에 눕혀서 저녁에 모포 한 장만 뒤집어쓰고 그렇게 하루 저녁을 지냈습니다. (한국전쟁) 6개월 후에는 전방 근무 불능자를 위생병으로 전근 시켜서 제가 위생병으로 근무를 해서 63병원에 근무를 했습니다. 그 당시 제가 일등병이었습니다."

'어느덧 90세가 된 일등병사가 청년들에게 전하고 싶은 이야기’

인터뷰> 양철순 (90세) / 6.25참전유공자
"현재 대한민국 국민 중에 약 50%이상이 6.25전쟁을 느끼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하는 그런 현실입니다. 6.25전쟁은 동족 간에 전쟁이 아닙니까. 그렇기 때문에 다시 이 나라에서는 그런 전쟁이 있으면 안 되고 또 우리 국민들이 국가관을 가지고 나라사랑을 했으면 하고 간절히 바랍니다."

다시 반복되어서는 안 될 대한민국의 역사.
그리고 그들이 지켜준 70년의 시간.

6.25 참전용사 그들의 희생정신에 진심으로 감사를 전합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