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무거운 택배 상자에 '착한 손잡이' 추진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무거운 택배 상자에 '착한 손잡이' 추진

등록일 : 2021.02.03

이주영 앵커>
코로나 사태로 택배가 크게 늘어난 데다 손잡이가 없는 무거운 상자도 많아 택배근로자들이 이중으로 힘든 실정인데요.
고용노동부가 올해 택배 상자에 '착한 손잡이'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현장에서 일하는 택배 근로자는 어떤 모습인지, 유청희 국민기자가 동행 취재했습니다.

유청희 국민기자>
경기도 부천의 한 아파트 단지, 택배 트럭이 왔는데요.
한 택배 근로자가 트럭 짐칸의 문을 열고 가득 쌓인 상자를 정리하기 시작합니다.
일단 배달할 주인의 상자를 찾아 분류하고, 이어 카트 위에 가득 싣고 아파트로 들어갑니다.
승강기를 타고 배달할 층으로 올라갑니다.
척척 잘 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택배 근로자들의 마음고생이 심합니다.
다름 아닌 손잡이가 없는 무거운 상자 때문.

인터뷰> 택배 근로자
"손잡이 하나 없고 만약에 진짜 무거운 건 더 무겁게 느껴지는 것도 있는 거 같고 미끄러지는 느낌도 있고 급할 때는 아무래도 마음이 급해서 떨어뜨릴 때도 꽤 있어요."

이렇다 보니 종종 다칠 때도 있습니다.

현장음> 택배 근로자
"발등 같은데 잘못 떨어트리고 하면 계속 며칠 아파요. 멍들고 이러니까..."

더 큰 어려움은 어깨나 허리, 팔목 등에 질환이 생긴다는 점, 때로는 치료를 받아야 할 때도 있습니다.

인터뷰> 택배 근로자
"계속 들다 보면 순간적으로 몸에 담 오고 갈비뼈 아프고 등이 너무 아프고 그렇죠. 아무래도."

손잡이가 있는 상자는 그나마 나은 편, 허리에 작용하는 부하를 10% 정도 줄여 그만큼 힘이 덜 듭니다.

인터뷰> 택배 근로자
"무거운데 아무래도 구멍이 있으면 좀 더 미끄러질 것도 없고 쉽게 들 수 있는 것 같아요."

구멍 뚫린 손잡이가 있어도 과일 등 일부 상자에 그치고 있는 게 아쉬울 뿐입니다.

현장음>
"과일박스, 고구마 (박스) 이런 거 원래 그전에도 뚫려 있었던 거. 그런 거 말고는 없어요."

손잡이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의 차이가 크다는 이야기인데요.
취재진이 직접 확인해 봤습니다.

유청희 국민기자
"지금 제 앞에는 같은 무게의 상자 두 개가 있습니다. 하나는 손잡이가 있는 상자, 하나는 손잡이가 없는 상자입니다. 제가 이 상자를 한 번 들어보겠습니다."

무게가 똑같이 5kg짜리 두 상자, 손잡이가 있는 상자는 비교적 거뜬히 들 수 있는 반면에, 손잡이가 없는 상자는 상자를 지탱해야 할 손의 위치를 잡기가 어려웠고 손목에 무리가 갔는데요.
한 눈에 봐도 훨씬 힘들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매일같이 무거운 상자를 짊어져야 하는 택배 근로자의 모습에 주민들도 안쓰럽다는 표정입니다.

인터뷰> 인천시 남동구 주민
"손잡이 없는 상자를 들고 다니는 택배기사들을 보면 참 안쓰럽죠. 건강도 안 좋아지실 것 같고..."

코로나19 사태로 가뜩이나 택배 물량이 크게 늘어난 상황.
택배를 자주 이용하는 사람들도 상자 손잡이가 없으면 불편하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경기도 부천시 주민
"택배 상자를 받을 때 손잡이가 없으면 짐을 받고 들 때, 풀거나 할 때 불편합니다."

손잡이가 없는 상자가 많아 물류창고의 선별 작업부터 더디게 이뤄진다고 하는데요.
그 여파가 고스란히 택배 근로자에게 미칩니다.

인터뷰> 택배 근로자
"선별하는 작업 시간이 많이 단축됐으면 좋겠어요. 그래야 저희가 한 시간이라도, 5분이라도, 30분이라도 더 빨리 (작업이) 시작을 할 수 있는 거니까..."

이 때문에 고용노동부가 택배 근로자들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적극 나섰는데요.
올해 택배 상자 67만 개의 '착한 손잡이'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전화인터뷰> 황규석 / 고용노동부 산업보건과 사무관
"마트에서 손잡이를 하다가 연말 하반기에 택배 과로사 문제가 되어 택배도 같이 포함시켰는데 주요 택배사들과 여러 차례 협의를 거쳤고요."

(촬영: 이승윤 국민기자)

또 손잡이가 설치된 택배 상자에는 착한 손잡이 표시를 부착하기로 했는데요.
고용노동부는 착한 손잡이가 자리를 잡도록 다양한 대안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코로나19로 택배 이용이 크게 늘어난 요즘.
일이 많고 힘든 택배 근로자들의 건강을 위해 착한 손잡이 상자가 더욱 확산되길 기대해봅니다.

국민리포트 유청희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