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신발 명성' 부산, 청년 신발 관련 창업 잇따라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신발 명성' 부산, 청년 신발 관련 창업 잇따라

등록일 : 2021.06.30

강수민 앵커>
부산은 과거 우리나라 신발 산업의 중심지로 유명했는데요.
신발 산업의 옛 명성을 되살리기 위한 움직임에 청년들도 동참했습니다.
청년 신발 아티스트가 뜨는가 하면 신발 창업에 뛰어드는 청년 사업가도 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강화영 국민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강화영 국민기자>
(한국신발관 / 부산시 부산진구)
우리가 매일같이 신고 다니는 신발, 평범한 상표가 있는 신발부터 짚신과 고무신 등 우리나라의 신발은 물론 세계 여러 나라의 신발과 유명 인사들의 신발을 볼 수 있는 박물관이 있는 곳, 바로 신발의 도시 부산입니다.

인터뷰> 김민철 / 신발산업진흥센터 국내기반조성팀 과장
"신발 전시, 교육, 문화 체험, 비즈니스를 한 공간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신발에 색과 그림을 입혀주는 이른바 '신발 커스텀 문화'가 요즘 한창 유행인데요.
부산에서는 색다른 신발을 디자인해 주는 청년 신발 아티스트가 뜨고 있습니다.

인터뷰> 정재환 / 'ㅍ' 신발업체 청년 아티스트
"옛날에는 부산에 신발의 메카라는 명칭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저도 옛날 그 명성을 살릴 수 있게끔 커스텀 문화를 활용해 그 명성을 한 번 더 재연해보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첨단신발융합허브센터 / 부산시 사상구)

특히 관심을 끄는 것은 부산에서 신발 창업을 하는 청년이 늘고 있다는 점, 첨단신발융합허브센터에 조성된 사무실 임대는 물론 신발 관련 교육 등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경훈 / 신발산업진흥센터 기술지원팀 과장
"39세 미만 미취업 청년들을 알선시켜서 창업가에게 청년을 고용하는 일을 하고 전문교육이라든가 직무교육, 컨설팅 다양하게 (청년들에게) 지원해 주고 있습니다."

('ㅂ' 청년 창업 신발제조업체)

이 같은 지원에 힘입어 첨단신발융합허브센터에 입주한 한 청년 창업 사업가, 사회 초년생 여성들을 겨냥한 출퇴근용 등 두 가지 신발을 위탁 제조합니다.

인터뷰> 박관선 / 'ㅂ' 청년 창업 신발제조업체 대표
"지금이 아니면 제가 좋아하는 일을 하지 못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과감하게 대기업을 퇴사하고 여성화 브랜드를 창업하게 되었습니다."

이 청년 업체가 신경을 쓰는 것은 바로 신발의 차별화.
대부분의 소비자가 신발의 디자인만 생각해 구매를 하는 추세로 자칫 발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하는데요.
건강한 신발을 만들기 위해 신발 연구기관과 함께 천연소재로 된 제품 개발에 신경을 씁니다.

인터뷰> 박관선 / 'ㅂ' 청년 창업 신발제조업체 대표
"(신발) 가죽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 화학약품을 많이 사용하고 본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와 같은 고민을 하는 고객들이 많을 거라고 생각해서..."

('ㅅ' 청년 창업 신발제조업체)

첨단신발융합허브센터에 입주한 또 다른 청년 창업 신발제조업체.
간호원들이 이용하는 신발인 간호화를 위탁 제작하는 업체로 좀 더 편하게 신을 수 있는 제품을 만드는 데 관심이 많은데요.

인터뷰> 허정호 / 'ㅅ' 청년 창업 신발제조업체 대표
"발이 편한 신발을 중점적으로 생각했었고 기능성 신발로써 하이브리드 형태로 신발을 만들었습니다."

구겨 신거나 당겨 신을 수 있는 기능성 신발을 만드는 데 힘을 쏟고 있는 겁니다.
청년 신발 창업이 잇따르고 있지만 어려움도 적지 않습니다.

인터뷰> 허정호 / 'ㅅ' 청년 창업 신발제조업체 대표
"신규 제품을 만들 때 막대한 자본이 들어가는 게 가장 큰 문제였습니다."

인터뷰> 박관선 / 'ㅂ' 청년 창업 신발제조업체 대표
"아무래도 국내 생산 기술자들이 고령화되다 보니까 전문 인력을 찾는 것이 가장 어려웠습니다."

(촬영: 김우태 국민기자)

이들 청년 신발 창업가는 세계 진출이 목표인데요.
청년 사업가들을 지원하는 행사도 부산에서 잇따라 열리고 있습니다.
얼마 전 마련된 청년 슈잡 행사, 해외 바이어와 화상 대화로 신발 제품을 소개할 수 있는 자리로 청년 사업가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신발산업의 요람이었던 부산에서 잇따르고 있는 청년들의 신발 창업, 신발 도시 부산의 옛 명성을 되찾으려는 신선한 도전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강화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