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3분기 가계소득 8% 증가···소득격차도 줄어

KTV 뉴스중심

3분기 가계소득 8% 증가···소득격차도 줄어

등록일 : 2021.11.19

박천영 앵커>
앵커 3분기 월평균 가계 소득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가 작성된 이후 역대 최대 상승률로, 경기 회복과 고용 시장 개선, 2차 추경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김용민 기자입니다.

김용민 기자>
전국 1인 이상 가구의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8% 늘어났습니다.
통계청의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월평균 소득은 472만 9천 원으로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이전소득이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구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377만 3천원으로 전년 같은기간보다 7.2% 늘어났습니다.

녹취> 정동명 / 통계청 사회통계국장
"3분기 고용상황 호조 및 서비스업 업황 개선 등에 따라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동시에 증가하였으며, 9월의 국민지원금 지급, 추석 명절 효과 등으로 공적 및 사적이전소득도 증가하면서 전체적으로 총소득이 증가하였습니다."

소득 동향을 살펴보면, 근로소득은 295만4천 원으로 6.2%, 사업소득은 88만5천 원으로 3.7% 증가했습니다.
이전 소득 역시 80만4천 원으로 전년 같은기간 대비 25.3% 늘었습니다.
기재부는 경기회복과 고용시장 개선 등의 영향으로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늘었고, 2차 추경 등으로 공적이전소득이 큰 폭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이에 따른 전체가구의 총소득 상승률 8%는 지난 2006년 1인가구를 포함한 통계조사 이후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총소득은 근로, 사업 소득같은 시장소득과 공적이전소득을 합한 금액입니다.
가구당 월평균 지출은 254만 4천원으로 4.9% 증가했습니다.
식료품과 비주류음료 지출이 43만 원으로 5.7% 늘었고, 의류신발 지출이 10만6천 원으로 10% 증가했습니다.
국민 소득의 분배상태를 나타내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34배로 지난해 3분기 5.92배보다 0.58배p 하락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영상취재: 안은욱 / 영상편집: 채소현)
정부는 소상공인 손실보상 등 코로나19 피해계층 지원 방안 등을 빠르게 집행하고, 내수활력 제고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TV 김용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