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병든 지구 살리자, 환경교육 시대 열린다!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병든 지구 살리자, 환경교육 시대 열린다!

등록일 : 2022.07.04

김담희 앵커>
지구온난화와 미세먼지 같은 환경문제는 모두가 관심을 가져야 해결이 가능한데요.
이를 위해 각계각층에서 다양한 환경 교육과 실천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정의정 국민기자가 전해드립니다.

현장음>
"플라스틱 빨대가 요래 박혀 있는 거라!"

정의정 국민기자>
한 초등학교의 환경교육 수업.
역할극 형식으로 재미있게 꾸민 수업을 통해 아이들은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깨닫습니다.

현장음>
"기름 묻은 종이, 영수증 전단도 뭐다? 일반쓰레기야. (투명) 페트병이랑 색깔 있는 페트병 분리하니?"
"네."

분리수거의 방법도 재미있는 게임으로 배워 봅니다.
자기만의 작품에 생활 속에 실천할 수 있는 작은 행동과 마음을 담습니다.

인터뷰> 조시현 / 중목초등학교
"저는 간단한 것부터 하고 있고 안 쓰는 방의 불을 끈다든가 아니면 먹을 만큼만 덜어서 먹는다든가 이런 걸 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태연 / 중목초등학교
"패트병 같은 쓰레기들을 올바른 방법으로 분리수거를 해서 버렸으면 좋겠고 가까운 거리는 걷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했으면 좋겠어요."

'선생님이 쏜다'라는 제목의 환경교육 수업은 환경운동단체가 연계해 지난해부터 해오고 있습니다.

인터뷰> 장대진 / 중목초등학교 교사
"초등학교에 맞는 중학교에 맞는 고등학교에 맞는 또 초등학교에서도 저학년 중학년 고학년에 맞는 교육자료들이 좀 많은 자료들이 제공되어야 하는 것은 기본이고요. 오늘 수업을 한 '지구를 지켜라' 같은 경우에는 6학년 미술에 3단원에 있습니다. 미술의 단원 자체가 '지구환경'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서 액션을 취하고 예술가로서 행동하는 거예요."

인터뷰> 김수남 / 소비자기후행동 팀장
"미래세대가 쓸 그 환경을 우리가 지금 빌려 쓰고 있는 셈인데요. 미래인 아이들의 문제이거든요. 저희 어른이 미리 알려주고 같이 행동할 수 있게 캠페인을 하고 교육하게 되었습니다."

한 친환경 상점에서도 학교 환경 교육과 실천을 함께하고 있습니다.
‘쌤이 쏜다’ 교육을 하고 있는 서울지역 500여 학교에 22만 개의 종이 팩에 담긴 물을 지원하고, 플라스틱 줄이기 캠페인에 동참했습니다.

인터뷰> 최중도 / 아이쿱생협 연합회 캠페인 팀 디렉터
"저희 어릴 때만 해도 생활과 환경 같은 과목들이 있었던 것 같아요. 거기에서 배우는 것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반마다 재활용할 수 있는 것들을 일주일에 30분 정도만이라도 같이 이야기를하고 나눈다면..."

환경 교육과 지원도 강화됩니다.
정부는 올해 처음으로 환경교육주간을 지정했습니다.
먹거리에서 수자원까지 환경을 지키는 교육에 기업의 참여도 확대됩니다.

인터뷰> 한화진 / 환경부 장관
"탄소중립실천을 이끌기 위해 환경에 대해 올바로 알고 실천방안을 제대로 배우는 환경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것에 공감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오경석 상무/ ‘ㅍ’ 기업 바른 마음 경영담당
"기업과 정부의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각자의 기업과 정부가 가지고 있는 핵심역량들을 잘 활용할 수 있을 것 같고요. 서로 간에 필요한 부분 보완해나가면서 저희가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들이 더욱더 풍부해지기도 하고 저희의 운영 노하우들을 정부 프로그램에 적용을 하게 된다면 전 국민 캠페인 부분에 있어서도 상당 부분 시너지를 낼 수 있지 않을까..."

(촬영기자: 이정임)

병들어가는 지구를 살리기 위해 환경교육이 중요한데요.
민관이 함께 하는 환경교육이 생활에서 실천으로 이어져 아름다운 지구환경을 회복하길 기대합니다.

국민리포트 정의정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