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혈의 누' 등 근현대 명작소설 초판본 공개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혈의 누' 등 근현대 명작소설 초판본 공개

등록일 : 2022.09.20

김담희 앵커>
우리나라의 근현대 명작소설 100편의 초판본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는 특별한 전시가 열리고 있습니다.
한국 문학 최초의 신소설인 '혈의 누'에서 6·25 전후 문학의 대표작 '광장'까지 공개됐는데요.
문학에 관심 있는 분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는 한국근대문학관을, 최유경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최유경 국민기자>
(장소: 한국근대문학관 / 인천시 중구)
인천에 있는 한국근대문학관.
근대서지학회와 함께 보기 드문 문학 자료 등 190점을 선보인 특별한 전시를 마련했습니다.

인터뷰> 이연서 / 한국근대문학관 학예연구사
"1906년∼1960년까지 약 두 세대 동안 발간된 작품들의 첫 모습을 만나보실 수 있는 전시입니다. 근현대 소설사의 흐름을 만나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현대명작선집 / 최서해·김낭운 (1926)

관심을 끈 것은 새로 발굴 공개된 <현대명작선집> 원고본. 지난 1926년 작가 최서해와 김낭운 두 사람이 당대 우리나라 최고의 소설가인 이광수와 김동인 등 15인의 작품을 묶어 편집한 원고인데요. 책으로 펴내지는 못했지만, 한국 최초로 시도된 소설 선집 원고본으로 귀중한 문학 자료입니다.

인터뷰> 이지석 / 인천시 미추홀구
"당시 작가들이 '저렇게 책을 편집했구나'를 알 수 있어서 정말 좋은 전시였던 것 같습니다."

1906년 발표된 한국 최초의 신소설인 이인직의 <혈의 누>. 작품이 처음 실린 '만세보'의 한 지면과 만날 수 있습니다. 3·1 독립운동 이후 일제가 출판을 제한하고 탄압했던 1920년대.
한국 최초의 작가 개인 작품집인 현진건의 <타락자>를 단행본 초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인터뷰> 김혜란 / 인천시 서구
"(소설의) 원본이잖아요. 교과서에서만 보던 걸 보니까 신기해요."

한국 모더니즘의 대표작인 이상의 단편소설 <날개>를 처음 연재된 문학지 '조광'을 통해 만나볼 수 있습니다. 향토적인 색채를 유려하게 담아낸 김유정의 <봄봄>, 그리고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 이 두 작품을 각각 연재했던 문학지 <조광>도 볼 수 있습니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박태원 (1934)
벽초 홍명희 역사소설, '임꺽정'

일제강점기 시대 지식인의 무기력한 내면 심리를 반영한 박태원의 작품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초판본에 작가 친필 서명이 쓰여 있습니다.
보시는 것은 벽초 홍명희의 역사소설 <임꺽정>, 1권에서 4권까지 선보였습니다.

6·25전쟁 이후 암울했던 현실을 사실적으로 담아낸 이범선의 <오발탄>, 분단된 현실 속에서 혼란을 겪는 주인공의 비극을 그린 최인훈의 <광장>, 격변의 시기 속에 치열하게 고민했던 작가 의식이 담긴 대표작품도 만날 수 있습니다.

인터뷰> 이슬기 / 경기도 안산시
"다양한 작품들을 실제로 하나하나씩 볼 수 있는 시간이어서 너무 좋았던 것 같습니다."

장한몽 / 조중환 (1913)
압록강은 흐른다 / 이미륵 (1946)

대표적인 통속소설로 이수일과 심순애의 사랑 이야기로 유명한 <장한몽>, 한국적 정서를 독일어로 써내 큰 관심을 모은 이미륵의 1946년 작품 <압록강은 흐른다>도 시선을 끕니다. 이번 전시는 작품 이해를 돕기 위한 노력이 돋보입니다.

인터뷰> 이연서 / 한국근대문학관 학예연구사
"모든 작품마다 QR코드를 삽입했거든요. 그래서 그 QR코드를 통해서 작품의 부분을 읽을 수도 있고 작품에 대한 설명을 보실 수도 있고요."

색다른 체험도 할 수 있는데요. 작품 속 인상 깊은 구절을 원고지에 직접 따라 써볼 수 있는 필사 체험을 할 수 있습니다.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는 이번 전시는 월요일을 제외하고 내년 4월까지 계속됩니다.
(취재: 최유경 국민기자 / 촬영: 최미숙 국민기자)

한국 문학사에 길이 남을 근현대 명작 100편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특별한 전시, 치열했던 작가의 시대정신을 되돌아볼 수 있는 뜻깊은 자리가 되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최유경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