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청년층 지역 선택 고려한 지방소멸 대응방향은?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청년층 지역 선택 고려한 지방소멸 대응방향은?

등록일 : 2022.11.03

최대환 앵커>
우리나라 전체 인구와 일자리의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서울과 수도권에 인구가 몰리고 지방은 인구 유출을 겪는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특히 청년들의 수도권 집중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난해에만 수도권은 20대 인구의 약 7만 명을 전국 각지에서 흡수했습니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의 20대 인구는 줄고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지방소멸의 위기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청년들이 지방을 떠나 수도권으로 향하는 현실적인 이유는 뭘까요.
원하는 일자리와 대학 등이 수도권에 분포되어 있다는 점과, 수도권 생활이 주는 다양한 편의 때문에 청년들이 몰리는 것으로 분석되는데요.
어떻게 해야 청년들이 지방 거주를 희망하게 될지, 청년들이 지역을 선택할 수 있는 이유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지방소멸 대응 방향과 과제를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KDI 한요셉 연구위원과 자세히 짚어봅니다.

(출연: 한요셉 / KDI 산업·시장정책연구부 연구위원)

최대환 앵커>
우리나라 수도권 집중 현상은 익히 들어 다들 알고 계실 텐데요.
최근 들어 청년층의 수도권 집중이 심화되고 있다고요?

최대환 앵커>
청년층이 수도권을 선택하는 이유는 어떻게 파악되고 있나요?

최대환 앵커>
수도권에 몰리는 이유가 주로 대학 진학과 취업이라고 설명해주셨는데, 실제 청년의 시기별 지역이동 데이터를 분석하신 걸로 알고 있습니다.
어떤 특징이 두드러지나요?

최대환 앵커>
우리나라 대학은 입학 정원이 정해져 있어서 모두가 수도권 대학에 진학하긴 쉽지 않은 상황인데요.
이럴 때는 청년들이 어떤 선택을 하는 걸로 분석되나요?

최대환 앵커>
문제는 청년들이 지방대학에 진학하더라도 취업하기 위해 다시 수도권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높을 것 같은데, 어떻습니까?

최대환 앵커>
이렇게 청년층이 수도권에 집중되면 지방소멸 위기는 더욱 가중될 것 같습니다.
관련해 정부는 어떤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나요?

최대환 앵커>
그렇다면 지방소멸의 원인과 청년층의 수도권 집중 심화 요인을 어떻게 연계해서 지원책을 마련해야 될까요?

최대환 앵커>
앞으로 지방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청년을 대상으로 한 지원 정책의 방향성은 어떻게 잡아가야 할지 마무리 말씀으로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지금까지 KDI 한요셉 연구위원이었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