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오는 6일부터 11일까지 필리핀과 싱가포르, 라오스를 잇달아 방문합니다.
필리핀과 싱가포르를 각각 국빈 방문을 하게 되고 라오스에서는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에 참석합니다.
김현지 앵커>
윤 대통령의 숨돌릴 틈 없는 정상회담과 다자회의.
주요 일정과 기대 성과에 대해 한치호 수원대 공공정책대학원 객원교수와 이야기 나눠봅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한치오 / 수원대 공공정책대학원 객원교수)
김경호 앵커>
2개국 국빈방문에 연이은 다자회의까지 다소 숨가쁜 일정인데요.
먼저 국빈 방문하는 두 나라, 순방 의미와 일정부터 짚어 주시죠.
김현지 앵커>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앞서 아세안 회원국인 두 나라, 필리핀과 싱가포르를 국빈 방문하게 되는데요.
먼저 국빈 방문 의미와 기대 성과에 대한 브리핑 듣고 이야기 이어가겠습니다.
김현지 앵커>
필리핀 국빈방문, 첫 일정이 한국전 참전 기념비 헌화인데요.
올해 수교 75주년을 맞이했는데 한국과 필리핀의 외교관계, 특별하다고 볼 수 있겠죠?
김경호 앵커>
마르코스 대통령과는 다자회의에서 여러 번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이번 국빈 방문에서 적극적인 세일즈 외교를 펴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양국의 교역관계는 현황과 발전방향 설명해 주신다면요?
김현지 앵커>
필리핀 뿐만 아니라, 싱가포르, 아세안 국가와의 외교, 경제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
경제적 의미와 기대 성과에 관한 브리핑 내용 들어보겠습니다.
김현지 앵커>
두 번째 국빈 방문국 싱가포르에서도 경제 협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세안 국가 중 두 번째로 큰 교역 대상국인데요.
이번 국빈방문으로 새로운 관계가 모색될까요?
김경호 앵커>
싱가포르 방문에는 삼성, 현대등 재계 총수가 동행해 '코리아 세일즈'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아세안 시장이 높은 경제성장률을 보이는 만큼 기업들에게도 큰 힘이 되겠죠?
김현지 앵커>
싱가포르에서는 특별한 일정, 싱가포르 렉처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연설이 있습니다.
'8.15 통일 독트린'이 가지는 국제 연대 의미를 처음 설명하는 자리라고 합니다.
특별한 의미가 있겠습니다?
김경호 앵커>
이어 윤석열 대통령은 라오스에서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를 이어갑니다.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참석 의미와 기대 성과 브리핑 내용 들어보겠습니다.
김현지 앵커>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는 순차적으로 열리는데요, 주요 일정을 짚어주시죠.
김경호 앵커>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의 첫 일정은 한·아세안 정상회의입니다.
이번 회의에서는 한 단계 더 격상된 관계를 수립할 것이라 밝혔는데요.
회의 개요와 참석 의미부터 짚어주시죠.
김현지 앵커>
아세안+3(한일중) 정상회의에서는 윤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신임 총리의 첫 정상회담도 이뤄질 가능성이 커보입니다.
어떤 내용이 논의될까요?
김현지 앵커>
18개 인태 지역 국가들이 참여하는 전략 포럼인 동아시아 정상회의 EAS가 마지막 일정, EAS 회의와 참석의미도 짚어 주시죠.
김경호 앵커>
이번 순방을 시작으로 11월 APEC 정상회의, G20 정상회의까지 말 그대로 '외교의 시간'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앞으로의 한일, 한미일, 한중으로 정상회담 이어질지 또한 기대가 모아집니다.
김현지 앵커>
지금까지 한치호 수원대 공공정책대학원 객원교수와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