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후의 삶은 새로운 인생의 장을 여는 설렘과 동시에 경제적 불안감을 동반합니다.
특히, 빠르게 변화해가는 사회와 불확실한 미래에 노후 준비의 중요성은 더욱더 강조되고 있는데요.
김현지 앵커>
서울스튜디오 연결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박성욱 앵커 나와주세요.
박성욱 앵커>
이기일 보건복지부 차관과 함께하는 연금개혁 마지막 시간인 오늘은, 안정적인 노후 소득 보장을 위한 연금개혁 방향에 대해 이야기 나눠봅니다.
차관님, 안녕하세요.
(출연: 이기일 / 보건복지부 제1차관)
박성욱 앵커>
지난주 연금개혁안의 세대 간 형평성 강화에 관해 설명해주셨는데요.
이 부분 외에도 이번 개혁안에 노후소득보장을 위한 내용도 담겨 있는데, 어떤 내용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박성욱 앵커>
그렇다면 어르신들이 한 달을 생활하는 데에 필요한 돈은 어느 정도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연금제도의 노후소득보장 기능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박성욱 앵커>
기본적인 노후생활을 위해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이 중요하다고 하셨는데요.
우선, 기초연금에 대해 설명 부탁드립니다.
박성욱 앵커>
앞서 기초연금을 단계적으로 인상한다고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얼마나 인상되는 건가요?
박성욱 앵커>
그런데 이렇게 기초연금이 인상되면, 국민연금을 내시는 분들께서 손해를 본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어떻습니까?
박성욱 앵커>
일각에서는 기초생활수급자에게 기초연금은 '줬다 뺏는 연금'이라는 지적도 있습니다.
이에 대한 대책은 없을까요?
박성욱 앵커>
지난 시간에 군·출산 크레딧 제도에 관해서 설명해주셨는데, 이 제도가 노후소득보장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요?
박성욱 앵커>
기초연금과 함께 노후소득보장에 있어서 퇴직연금과 개인연금도 중요할 것 같습니다.
퇴직연금과 개인연금은 어떻게 개선되나요?
박성욱 앵커>
지금까지 4주에 걸쳐 연금개혁 방향과 궁금한 내용들을 차관님과 함께 풀어갔는데요.
마지막으로 하시고 싶은 말씀이 있을까요?
박성욱 앵커>
지금까지 보건복지부 이기일 제1차관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