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막을 내린 제 13차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에서 남북은 다음달 17일 경의선과 동해선 열차를 시험운행하기로 합의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북한에 대한 경공업 원자재 제공 등 많은 경제협력 사업들이 열차시험 운행과 시기적으로 맞물려 있어 이번 만큼은 북한이 약속을 지킬 수 밖에 없을 것이란 전망입니다.
강석민 기자>
남북 경제협력의 상징이자, 우리나라가 동북아 물류 허브로 거듭나기 위해 꼭 필요한 경의선과 동해선 열차운행.
하지만 막혀있던 철도의 복원은 결코 쉽지 않았습니다.
지난 2006년 5월 25일 열차시험운행을 목전에 뒀지만 북측의 일방적인 통보로 무산됐습니다.
북한의 군부가 열차에 대해 군사적인 보장조치를 보장할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다음달 17일 실시하기로 합의한 경의선-동해선 열차 시험운행은 전처럼 북측의 일방적인 약속 파기는 없을 것이란 분석입니다.
이재정 통일부 장관은 MBC 라디오와 인터뷰를 통해 경공업 원자재 제공과 지하자원공동개발 등 경협 사업들이 대체로 5월과 6월에 열차 시험운행과 맞물려 있어 북한이 약속을 일방적으로 깨지는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 장관은 특히 경협위의 회의 특성상 다른 안건인 군사보장 문제를 넣기가 어려워 `적극 협력한다`는 문구를 사용했다며 이는 지난 20차 장관급회담 때보다 진일보한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아울러 북한의 2.13 합의 조치 이행을 쌀 차관 지원과 연계하겠다는 뜻도 분명히 했습니다.
북핵 2.13합의가 지켜지지 않으면 한반도 평화를 내다볼 수 없고 그러면 우리 국민들이 쌀 차관에 공감하지 못할 것이라고 북측에 전달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장관은 끝으로 동의선과 경의선 열차의 운행은 단기적으로 매월 백억원어치에 달하는 개성공단 제품의 운송과 장기적으로는 대륙 수송로의 확보로 남북에 동시에 막대한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이라며, 북한이 지난 합의를 깬 부담이 있는 만큼 이번 만큼은 반드시 약속을 지킬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