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는 아직 인류가 풀어내지 못한 질환 중 하나입니다.
국내 연구진이 간단한 체액 검사만으로도 알츠하이머병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했는데요.
현장에 김유리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김유리 기자>
노년 최대의 적이라 불리는 치매.
전 세계 치매의 약 60~70%를 알츠하이머병이 차지합니다.
뇌 신경세포가 서서히 죽어가는 퇴행성 뇌질환으로 기억력 등 인지 기능이 서서히 저하됩니다.
그러나 아직 근본적인 치료제가 없습니다.
조기 진단과 지속적인 관리가 더욱 중요한 이유입니다.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병을 조기에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진단 플랫폼을 개발했습니다.
뇌척수액이나 혈액을 통한 체액 검사 방식인데, 기존 체액 검사 방식보다 10만 배 이상 높은 민감도를 자랑합니다.
녹취> 김령명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
"저희가 개발한 플랫폼은 검출 민감도를 비약적으로 높여서 일반적으로 바이오마커(생체지표)가 뇌척수액에 가장 많은데 혈액 또는 체액에도 굉장히 조금씩은 있거든요. 그걸 검출할 수 있게 만들 수 있는..."
체액 속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아주 적은 양의 성분도 정확히 검출할 수 있습니다.
이 검출 플랫폼은 저비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해, 알츠하이머병 조기 진단 문턱을 낮출 것으로 전망됩니다.
녹취> 유은아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건강 검진 안에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체액 검사 방식을 넣어서 궁극적으로 되게 낮은 비용으로, 쉽게 조기 진단을 주기적으로 받을 수 있는 상황을 만드는 게 저희 1차적 목표입니다."
향후 해당 진단법이 상용화되면, 의원급 의료기관에서도 알츠하이머병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김유리 기자 dbqls7@korea.kr
"알츠하이머병을 진단할 수 있는 키트입니다. 향후 이 기술을 키트에 적용하게 되면 코로나 키트처럼 좀 더 간편하게 알츠하이머병을 진단할 수 있을 거로 기대됩니다."
이 검출 플랫폼은 임상시험과 인허가 절차를 거쳐 상용화 될 예정입니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알츠하이머병 뿐만 아니라 암과 뇌 질환 등의 조기 진단과 모니터링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영상취재: 백영석, 전민영 / 영상편집: 조현지 / 영상그래픽: 김지영)
KTV 김유리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