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가디언 / 6.30 서울시, 러브버그 대응 고심 [외신에 비친 한국]

생방송 대한민국 2부 월~금요일 16시 30분

가디언 / 6.30 서울시, 러브버그 대응 고심 [외신에 비친 한국]

등록일 : 2025.07.04 17:51

박유진 외신캐스터>
외신에 비친 한국, 첫 번째 소식입니다.

1. 가디언 / 6.30 서울시, 러브버그 대응 고심
최근 서울 시민들을 괴롭히는 러브버그.
해충이 아니라고는 하지만, 등산로와 도심을 점령하면서 시민들의 불편은 커지고 있는데요.
외신도 이 소식을 전했습니다.
함께 보시죠.
영국 신문 <가디언>은 일명 '러브버그'라고 불리는 곤충이 한국 서울 전역의 등산로와 도시 지역을 점령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에 따라 관련 민원이 2023년 4,418건에서 지난해 9,296건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는데요.
보도에 따르면, 러브버그는 중국 남동부 아열대 지역과 대만, 일본의 류큐 제도에서 서식하던 곤충으로, 2022년 한국에서 대규모로 발견됐습니다.
최근 서울시는 이 러브버그가 해충이 아닌 익충이라고 설명했지만, 이러한 홍보에도 불구하고 서울 시민들의 인내심은 한계에 다다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가디언>은 서울 시민 86%가 러브버그를 해충으로 간주하며, 혐오감을 주는 곤충 순위에서 바퀴벌레와 빈대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2. 디플로매트 / 7.3 구글 맵, 한국에서 왜 안 될까
다음 소식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이용자를 보유한 구글맵의 길찾기 서비스가 한국에서는 왜 제공되지 않는 걸까요?
그 이유는 바로, 1970년대부터 이어진 지도 규제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미국 외교 전문지 <디플로매트>가 자세히 보도했습니다.
<디플로매트>는 매일 수백 명의 방문객이 서울역에서 나와 구글 지도를 열지만,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이 구글맵의 길찾기 서비스가 한국에서는 제공되지 않는다고 보도했습니다.
<디플로매트>는 한국이 중국과 이란, 시리아 등 몇 안 되는 나라들과 함께 해외 기업에 센티미터 단위의 지도 데이터 수출을 금지하는 국가라고 전했는데요.
그 이유는 지난 1970년, 한국이 정밀 지도 제작을 전략 자산으로 분류하면서 지도 규제가 시작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디플로매트>는 또, 정밀 지도가 네이버 지도나 카카오맵, SKT의 티맵과 같은 한국 국내 서비스 번영의 기반이라고 밝히면서, 해당 서비스는 구글이 불리한 조건을 안고 있는 덕분에 국내 내비게이션 트래픽의 90%를 차지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3. FP / 6.28 '오징어 게임'의 인기 비결
마지막 소식입니다.
지난 6월 27일, '오징어 게임'의 마지막 시리즈, 시즌3가 공개됐습니다.
하루 만에 넷플릭스를 서비스 중인 93개국 모두에서 1위를 차지했고, 이 기록은 6일 연속 이어지고 있는데요.
'오징어 게임'이 이토록 흥행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관련한 외신 보도, 전해드립니다.
미국의 뉴스 매체, <포린 폴리시>는 넷플릭스 자체 보고에서 <오징어 게임> 시리즈가 넷플릭스에서 가장 많이 시청된 콘텐츠로 이름을 올렸다며, 두 시즌 동안 전 세계에서 35억 8,500만 시간 동안 시청 됐다고 보도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은 비교적 최근 경제 발전을 이룬 나라로, 강렬함을 지니고 있다고 소개했는데요.
그 강렬함이 집에서 보기에 완벽한 프로그램인 '오징어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며, '오징어 게임'의 흥행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포린 폴리시>는 또, 한국이 가지고 있는 이 강렬함으로 한국 문화 수출의 상승세는 꺾일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오징어 게임'은 시즌3 공개 이후 3일간 6천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고, 93개국에서 1위를 차지하며 해당 기간 기준 역대 최고 데뷔 성적을 거뒀습니다.

지금까지 외신에 비친 한국 전해드렸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