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G7부터 한미 회담까지···"대한민국이 돌아왔다"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G7부터 한미 회담까지···"대한민국이 돌아왔다"

등록일 : 2025.09.11 10:01

김용민 앵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한 지 100일이 됩니다.
취임 직후부터 무너진 정상외교를 되돌리는데 상당한 공을 들였는데요.
다자외교를 통해 정상외교의 복원을 알리고, 미일 양자 외교를 완성하며 한미일 협력의 기반을 다졌습니다.

김현지 앵커>
관세 파고와 러우전쟁 등 격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출범한 이재명 정부가 외교 안보 분야의 성적표는 어떨까요?
서울 스튜디오 연결해 자세한 내용 살펴봅니다.
차현주 앵커!

차현주 앵커>
이재명 정부의 '실용외교' 지난 100일간의 성과와 과제에 대해 민정훈 국립외교원 미주연구부 교수와 자세한 의미를 짚어보겠습니다.

(출연: 민정훈 / 국립외교원 미주연구부 교수)

차현주 앵커>
임기 초 정상외교의 공백, 최대 난제였던 대미 관세협상까지 치러냈습니다.
100일간의 외교 행보,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차현주 앵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12일만에 다자외교 무대에 데뷔했습니다.
어떤 의미가 있었을까요?

차현주 앵커>
다자외교에 이어 첫 양자회담 상대는 일본이었습니다.
두 차례의 한일 정상회담이었습니다.
당시 모습, 보고 오겠습니다.

차현주 앵커>
한국과 일본이 협력하면 서로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당시 회담 장면이 현재 관계를 함축한 것 같습니다.
한일 셔틀 외교의 조기 복원도 중요한 성과겠죠?

차현주 앵커>
이재명 대통령이 첫 한미 정상을 앞두고 일본을 먼저 방문했습니다.
이어진 한미 정상회담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한일관계를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한미일 3각 공조의 기반을 다졌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차현주 앵커>
취임 100일 외교 행보의 하이라이트는 한미 정상회담이었을 것 같습니다.
당시 현장, 보고 오겠습니다.

차현주 앵커>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외교 공백이 길어 우려가 있었는데요.
한미 정상회담, 어떻게 보셨습니까?

차현주 앵커>
대미 관세 협상은 이제 실무협의 단계에 들어갔습니다.
대미 관세 협상 타결도 큰 성과였죠?

차현주 앵커>
이재명 대통령은 미중관계에 있어서도 새로운 리더십을 나타냈는데요.
발언 내용, 듣고 오겠습니다.

차현주 앵커>
'안미경중'은 더 이상 취할 수 없는 상태라고 밝혔습니다.
그리고 국방비도 늘릴 것이라 밝혔는데요.
지도자의 외교적 판단,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차현주 앵커>
이재명 정부는 '중국을 중요한 파트너'라고 강조했습니다.
향후 중국과의 관계는 어떻게 보십니까?

차현주 앵커>
이재명 정부는 북한과의 관계에도 변화를 예고했습니다.
관련 내용, 듣고 오겠습니다.

차현주 앵커>
이재명 정부의 대북 정책 방향은 명확했습니다.
"싸울 필요가 없는 상황"을 만드는 것.
앞으로 북한과의 관계도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될까요?

차현주 앵커>
북핵 문제에 대해 '비핵화 3단계'라는 비전도 제시했습니다.
한반도 평화의 페이스 메이커 역할로 북핵해법, 어떻게 찾아가야 할까요?

차현주 앵커>
한미일과 북중러의 연대가 강화되는 모양새입니다.
유엔총회와 경주 APEC 정상회의로 이어지는 연쇄 다자외교 무대에서 이 대통령이 '실용 외교'를 어떻게 이어가게 될까요?

차현주 앵커>
지금까지 민정훈 국립외교원 미주연구부 교수와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