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북한 핵실험에도 불구하고 국내외 경제동향에 우려할 만한 상황은 아직까지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재확인했습니다.
재정경제부가 정례 브리핑을 통해 밝힌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박영일 기자>
Q> 먼저 북한 핵실험 이후 지금까지의 전반적인 경제상황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습니까?
A> 박병원 재경부 1차관은 조금 전 정례 브리핑을 통해 북 핵실험 발표 이후 주로 금융시장을 중심으로 나타난 충격이 사라지면서 경제 각 부문이 점차 안정세를 나타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9일부터 운영중인 비상대책팀이 경제상황을 면밀히 모니터하고 있으며, 그 결과 아직까지 주식시장과 채권 외환시장에 우려할 만한 동향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특히, 지난 10일 세계 1위의 검색업체인 구글이 우리나라에 R&D센터 설립과 투자 계획을 밝힌 데서도 알 수 있듯 북핵 사태가 외국인 투자에 큰 요인은
아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일부 단기적인 영향이 가시화될 가능성은 있기 때문에 대내외 여건 변화를 종합적으로 검토해서 필요시엔 경제성장률 전망 수정 등을 포함한 관련 대책을 오는 12월말 발표될 경제운용계획에 반영시키겠다고 덧붙였습니다.
Q> 북한 핵실험으로 인해 경기부양책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는 언론의 보도에 대해서는 어떤 입장을 밝혔나요?
A> 박병원 차관은 12일 아침 대다수 언론에 보도된 경기부양책 검토와 관련해서도 명확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박 차관은 경제가 위축될 것으로 판단되면 거시경제정책 기조를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은 권오규 부총리도 취임 이후 누차 밝혔듯이 당연한 일이지만, 이번 북한 핵실험으로 인해 당장에 경기부양책을 적극 검토하겠다는 뜻은 아니라고 못 박았습니다.
특히 북한 핵실험 상황은 정책방향 수정 여부를 판단하는 데 새롭게 추가된 고려요소일 뿐이라며, 앞으로 추이를 지켜본 뒤 경제정책에 반영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정부가 시장상황에 앞서 구체적 대응책을 밝히는 것 자체가 시장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고 전제하고, 북핵 사태에도 불구하고 차분하고 의연하게 대처해준 국민들과 해외투자자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습니다.
박 차관은 경제주체의 의연한 태도가 정부의 어떤 대책보다 가장 확실한 경제 대책이라고 생각한다며 이같은 자세를 견지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