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통계청은 27일 주거실태와 경제활동 부문 집계결과를 포함한 2005 인구주택 총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Q> 통계청 조사 결과에 따르면 취업자의 평균연령이 높아지고 있죠?

김현아 기자>

A> 통계청에 따르면 취업자 평균연령은 42.3세로 5년 전보다 1.4세 높아졌습니다.

5년전에는 30대 취업자가 전체의 29.7%로 가장 많았으나 지난해에는 40대가 28.7%로 30대를 뛰어넘어 노동인구의 `고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취업자의 성별 구성비는 남성이 61.7%, 여성은 38.3%로 여성 비율은 5년 전보다 0.8%p 증가했습니다.

여자 취업자 1명당 남자 취업자 비율을 나타내는 취업자 성비가 가장 높은 곳은 울산시 북구로 남자 취업자가 2.7배 많았습니다.

산업별 취업자의 평균 연령은 농림어업 58.5세 광공업 39.2세 사회간접자본과 기타 서비스업이 40.7세로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취업자 연령이 가장 높았습니다.

직업별로는 남자 구성비가 높은 직군은 고위임직원과 관리자로 89.3%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63.2% 서비스업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년 전보다 여성취업자가 많이 증가한 직업은 전문가 분야로 2000년보다 5.1% 증가한 49.1로 조사됐습니다.

취업자 중 65%가 임금근로자로 임금근로자의 구성비는 증가하고 자영업자와 무급가족종사자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취업자 가운데 사무실이나 공장 등 사업장에서 일하는 사람이 74.5% 야외 작업현장에서 일하는 사람은 13.8%로 조사됐습니다.

Q> 주거실태별 조사결과에 따르면 자동차 보유대수도 증가했다구요?

A> 전국의 평균 자가 주거율은 56.5%였지만 자동차 보유가구 비율은 지난 2002년 58.2%에서 61.4%로 증가했고 2대 이상 보유하고 있는 비율도 12.1%로 조사됐습니다.

먼저 가구의 거주기간별 분포는 5-10년 거주가구가 19.1%로 가장 많았습니다.

1년 미만은 17.2%, 3-5년은 13.6%로 나타났습니다,

주거시설 형태별로는 부엌과 수도 화장실 목욕시설을 모두 갖춘 가구 비율은 92%, 하나라도 못 갖춘 가구는 8.0%였습니다.

지하나 옥상에 거주하는 가구의 94.4%가 수도권에 분포하고 있었습니다.

임차가구의 평균 전세금은 5,109만원 월세는 21만원, 사글세는 28만원이며 보증금 있는 월세의 경우 평균 보증금은 1,157만원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번 조사는 2005년 11월 1일부터 15일까지 보름간 조사 기준시점에 대한민국에 상주하는 모든 내 외국인과 이들이 살고 있는 모든 거처를 대상으로 실시됐습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