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는 토지공사, 전력공사 등 국내의 공기업들을 해외에서도 볼 수 있게 됩니다.
정부는 그 동안 공기업들의 해외진출을 막고 있던 규제들을 최대한 풀어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앞으로 공공기관의 해외 진출이 활발하게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기획예산처는 공공기관들이 국내 독점 상태에서 벗어나 해외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기존의 규제들을 풀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공기업 해외진출 규제 완화는 정부가 공공기관의 혁신 수준을 높이기 위해 마련한 수준별 대책 중 하나.
정부는 지난해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부진그룹부터 선도그룹까지 총 6단계로 나눠 혁신수준을 평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혁신 수준이 높은 공공기관에 대해 기존의 핵심역량을 토대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도록 적극 유도한다는 계획입니다.
이렇게 되면 조폐공사가 고도화된 기술로 전자여권을 개발하고 농촌공사가 기존의 농지개량 기능에서 농촌지역개발로 기능을 확대하는 등 각 공기업의 핵심역량이 다각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더불어 공공기관에 멘토링 프로그램, 즉, 동반학습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혁신 선도기관과 부진기관을 짝지어 혁신 경험의 확산을 꾀한다는 계획입니다.
현재 도로공사, 한국전력 등 29개 선도기관이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해 재외동포재단 등 80여개 기관과 혁신의 경험을 공유하겠다고 나섰습니다.
정부는 또한 박사급을 비롯한 고급인력들을 많이 두고 있는 출연연구기관들이 상대적으로 혁신에 무관심하다는 판단 하에 변화관리 전략을 별도로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기획예산처는 아울러 공공기관의 기능과 인력을 서비스. 현장 중심으로 재편해 글로벌 시대의 경쟁 전략을 더욱 가속화 할 방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