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아이가 성인이 됐을 때 학자금이나 창업비용 등으로 쓸 수 있도록 부모와 정부가 일정액을 적립하는 제도가 실시됩니다.
빈곤의 대물림을 끊기 위해 일종의 종자돈을 마련해 주자는 것인데요,
처음으로 시도되는 제도여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저소득층이 감당하기 어려운 비싼 대학 등록금이나 창업비용은 빈곤을 대물림하게 되는 큰 원인 중 하납니다.
이 고리를 끊기 위해 복지부는 내년부터 아동발달지원계좌제도를 실시키로 했습니다.
아동의 부모와 정부가 공동으로 매달 일정금액을 적립하고, 성인이 되면 학자금이나 창업비용등으로 사용토록 하는 것입니다.
이 계좌는 아동이 성인이 될 때까지 해약할 수 없고, 친권자가 아동을 대신해 적립금을 찾을 수도 없습니다.
또, 학자금이나 창업비, 취업훈련비용이나 주택마련으로 사용용도를 제한할 방침입니다.
복지부는 우선 내년부터 소년소녀 가장과 시설보호 대상 등 요보호 아동 3만 7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뒤, 점차 대상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복지부는 내년부터 16세와 40세 66세 연령층의 전 국민을 대상으로 건강검진을 실시할 방침입니다.
해당 나이 대에 특히 걸리기 쉬운 질병을 미리 예방하기 위해섭니다.
16살에는 흡연과 비만, 정신건강검진 항목을 추가하고, 40살에는 심장과 뇌혈관질환 발생 위험도 측정, 66세에는 치매선별검사, 골다공증 검사 등을 도입합니다.
복지부는 또, 주거와 의료, 요양 등 노인서비스 산업을 집중 시킨 ‘고령친화형 지역특구’를 계발해 미래 초고령 사회 모범지역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