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물환경기준 개편방향 발표
환경부가 수질 개선을 위해서 관리 기준 항목을 대폭 늘리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28년 만에 기준이 확대되는 것입니다.

물 환경 기준 항목이 9개에서 17개로 늘어납니다.

이번에 크게 확대되는 물 환경 기준은 지난 1978년 제정된 것으로 28년만에 처음으로 손질을 하는 것입니다.

그동안 약 3만 7천여종에 달하는 화학물질 사용이 급증하는 등 기준을 만들 당시와는 상황이 많이 변했기 때문입니다.

개정안에 따르면 물환경 기준 건강보호 항목은 현재 카드뮴과 비소, 수은, 납 등 9종이지만 이르면 내년 1월부터는 여기에 발암물질 벤젠과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등 6종이 추가됩니다.

환경호르몬으로 알려진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와 안티몬 등 2종은 2009년부터 적용됩니다.

지금까지는 전국 194곳의 하천 중 절반 이상이 수질 등급으로만 분류가 돼 왔기 때문에 더 이상의 세밀한 수질 평가는 힘들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매우좋음`과 `좋음` 등 7가지로 분류해 물 상태에 대한 설명이 서술형 등급으로 바뀌게 됩니다.

또, 이같은 등급별로 서식 생물을 선정할 계획입니다.

어떤 생물이 살 수 있는지를 알면 수질이 어느정도 인지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매우 좋음`과 `좋음` 등급에는 산천어와 금강모치 열목어 등 아주 맑은 물에서만 살 수 있는 물고기가 선정됐습니다.

한편, 환경부는 생물 체내 농축성이 강한 카드뮴 기준은 리터당 0.005밀리그램으로, 납은 리터당 0.05밀리그램으로 바꾸는 등 기존 기준을 배로 강화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