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지난 4일 MBC PD 수첩은 멕시코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을 맺은 뒤 경제가 파탄 상태에 이르렀다는 내용의 방송을 했습니다.

이에 대해 청와대 이백만 홍보수석은 한국과 멕시코의 상황이 크게 다른데도 두 나라를 단순 비교해 국민 여론을 오도했다고 비판했습니다.

청와대 이백만 홍보수석은 한미 FTA에 대한 반대의 이유로 자주 거론되고 있는 멕시코 경제파탄의 이유가 NAFTA 때문이 아니라 현지화폐인 페소화의 폭락이 더 큰 원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 수석은 청와대 홈페이지에 올린 글을 통해, NAFTA 발효 이후 멕시코의 어려워진 경제상황을 보도한 MBC `PD수첩` 내용을 반박하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PD수첩은 지난 4일자 방송에서 멕시코가 NAFTA 체결 이후 실직자와 도시빈민이 급증하고, 서민들의 생활고는 가중됐으며, 소비자 물가는 오히려 크게 뛰는 등 적지 않은 후유증과 부작용이 나타났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이 수석은 FTA가 만병통치약이 아니고, 경제정책인 만큼 장단점이 뚜렷하기 때문에 멕시코 사례에서 많이 배워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PD수첩은 `멕시코판 IMF 사태`인 페소화 위기를 간과한, 전형적인 편파왜곡보도라고 비판하면서 멕시코 서민경제가 NAFTA가 발효된 지난 1994년 이후 어려워진 것은 맞지만, 휠씬 더 큰 원인은 95년에 터진 페소화 위기라는 분석이 맞다고 지적했습니다.

멕시코는 지난 1995년 외환위기에 휩쓸리면서 경제가 어려워졌고, 당시 실질국내총생산이 6.2%나 감소했으며, 중소기업의 대량 부도와 실업, 양극화 심화 등 경제가 파탄 그 자체였다는 설명입니다.

아울러 한국과 멕시코는 경제발전 수준과 경험이 크게 다르다는 점도 밝혔습니다.

국가경제의 발전수준과 개방 역사, 경제구조 등에서 본질적인 차이가 있는데, 멕시코의 NAFTA 이후 부작용을 예로 들어 한미FTA를 반대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입장입니다.

이 수석은 NAFTA가 벤치마킹의 대상임에 틀림없지만 모든 것은 우리가 하기에 달렸다며 한미FTA 추진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