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각 부처 `비즈니스 외교` 본격화
너나 할 것 없이 나라 경제가 최우선이라는 요즘, 한정된 국내 시장에만 머물러서는 해법을 찾기 어려울 것입니다.

건설교통부, 산업자원부 등 정부 각 부처들이 해외시장을 개척하는 비즈니스 외교를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적극적인 외교활동을 통해 해외시장을 개척하는 `비즈니스 외교`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정세균 산업자원부 장관은 지난 23일 미국 워싱턴 D.C행 비행기에 올랐습니다.

정 장관은 26일부터 워싱턴 D.C를 시작으로 뉴욕, 샌프란시스코를 거쳐 캐나다 앨버타주를 방문해 기술·투자·에너지협력을 화두로 한 비즈니스 외교를 펼치게 됩니다.

이번 방문에서 산업자원부 장관은 한미 FTA를 계기로 한 미국과의 산업·에너지협력 활성화와 외국인투자 유치 확대, 그리고 세계2위의 석유매장량을 보유한 캐나다와의 자원개발 협력을 중점적으로 추진합니다.

이에 앞서 지난 18일에는 건설교통부 김용덕 차관이 건설교통 해외수주를 위해 알제리와 아제르바이잔을 향해 떠난 바 있습니다.

이는 아시아권 개발도상국가들과 중동지역에서 우리나라의 발전된 신도시 개발과 고속철도 기술에 대해 갖는 최근의 관심을 적극적으로 파고드는 세일즈 외교의 일환입니다.

24일 귀국한 김 차관은 알제리의 신도시 건설에 한국 업체를 참여시키는 데 합의하는 등 소기의 성과를 이뤘습니다.

이처럼 정부 각 부처가 나서고 있는 본격적인 비즈니스 외교의 시발점은 노무현 대통령의 해외순방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노 대통령은 지난 3월 이집트, 나이지리아, 알제리 등 3개국을 순방한 데 이어 지난 5월에는 몽골, 아제르바이잔, 아랍에미리트에서 비즈니스 외교를 펼쳤습니다.

해외 유전 개발과 투자 등 에너지 자원의 확보와 함께 고속철도와 신도시 등 우리나라의 앞선 기술을 내세워 능동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해나갈 수 있는 기조와 기틀이 마련됐다는 점이 순방의 성과였습니다.

정부 각 부처가 잇따라 나서고 있는 비즈니스 외교는 대통령의 해외순방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결과물로 엮어내는 후속조치의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

고유가와 환율 하락으로 어려운 여건을 맞은 요즘, `대통령이 뿌리고 각 부처가 거두는` 활발한 비즈니스 외교가 어떤 성과들을 내놓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