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안정 대책
-
소상공인 경영부담 완화 '3대 지원사업' 시행
김경호 앵커>소상공인의 경영 부담을 덜기 위한 정부의 3대 지원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행됩니다.전기, 수도 등 각종 공과금과 운영 자금, 배달비 지원이 핵심인데요.최다희 기자가 신청 방법과 시기를 정리했습니다.최다희 기자>정부가 고금리·고물가에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3대 지원사업'을 시행합니다.중소벤처기업부는 이번 1차 추가경...
-
저소득 소상공인·자영업자 빚 부담 던다 [경제&이슈]
빚 때문에 힘겨워하는 취약차주를 위한 탕감 계획을 밝혔다. 새 정부 첫 추경을 통한 민생 회복 효과를 전망한다.
-
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TF' 구성···"신속 지급 준비"
모지안 앵커>정부가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원활한 지급을 위해 범정부 차원의 TF를 꾸렸습니다.지급 대상과 방법 등 세부 기준이 마련될 예정인데요.최다희 기자입니다.최다희 기자>지난 19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전 국민에게 1인당 15만 원에서 50만 원을 차등 지급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업이 포함됐습니다.행정안...
-
전 국민 15만 원 + α, 소비 띄워 경기 살린다 [경제&이슈]
정부가 침체된 내수를 살리기 위해 올해 2차 추경편성 계획을 발표했다. 전 국민에게 각 15만~50만 원 소비 쿠폰을 차등 지급, 빚 때문에 힘겨워하는 취약차주를 위한 탕감 계획을 밝혔다. 새 정부 첫 추경을 통한 경기 진작 효과를 전망한다.
-
전 국민에 민생회복 소비 쿠폰···1인당 15~50만 원
김용민 앵커>정부의 이번 추경안은 30조 5천억원 규모로 경기 진작과 민생안정에 초점을 뒀는데요.김현지 앵커>침체된 소비 활성화를 위해 전 국민에게 15만 원에서 50만 원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는 등 15조2천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신국진 기자입니다.신국진 기자>정부가 확정한 추경안 규모는 총 30조 5천억 원.침체된 경기 회복과 민생 안정에 ...
-
장기연체채권 16조 원 소각···구직급여 확대
김용민 앵커>추경안 주요 내용 조금 더 살펴보겠습니다.정부가 장기연체자의 밀린 빚 16조 원을 매입해 소각하기로 했습니다.김현지 앵커>실업자의 생계유지를 위해 구직급여로 1조 3천억 원을 지급합니다.계속해서 김찬규 기자입니다.김찬규 기자>한국은행에 따르면 2019년 6백조 원대였던 자영업자의 대출잔액이 2022년 1천조 원을 넘어섰습니다.지난해 3분기 기준...
-
당정, 민생회복 지원금 전 국민 지원···추경 35조 원 근접
임보라 앵커>정부와 여당이 협의회를 열고, 추경안의 세부 사항을 조율했습니다.전 국민에 민생회복지원금을 지급하고, 취약계층은 추가 지원하는 방향으로 조율을 마쳤습니다.신국진 기자입니다.신국진 기자>정부가 발표를 앞둔 2차 추경안의 세부 내용을 조율하기 위해 여당과 실무회의를 가졌습니다.비공개로 열린 협의회에서는 민생지원금 지급 범위와 액수 등을 중점 논의한...
-
'비상지역경제 상황실' 출범···지역 경제 위기 대응
모지안 앵커>행정안전부가 지역 경제 위기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비상지역경제 상황실'을 설치했습니다.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해 지역 경제 흐름을 상시 진단하고, 민생 현안에 적극 대응할 계획입니다.최다희 기자입니다.최다희 기자>지자체 경제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지역경제 상황판'.최근 내수 부진과 고물가가 이어지는 가운데 행정안전부가 지역 경제 위기 ...
-
농축수산 할인 460억 투입···체감물가 잡는다 [오늘의 이슈]
임보라 앵커>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정부가 서둘러 물가안정 대책을 내놨습니다.박연미 경제평론가와 함께 살펴봅니다.(출연: 박연미 / 경제평론가)Q. 국내 먹거리 물가 현황은?Q. 밥상물가 안정 계획은?Q.체감물가 안정 계획은?
-
유류세 인하 2개월 연장···농축수산물 할인지원에 460억 원
김용민 앵커>정부가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고 체감물가 안정방안을 마련했습니다.김현지 앵커>국제유가 상승에 대비해 유류세 인하를 2개월 연장하고, 농축수산물 할인지원에 460억 원을 투입할 계획인데요.조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조태영 기자>물가관계차관회의(장소: 16일, 정부세종청사)정부가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고, 즉시 시행 가능한 물가 안정 방안을 논의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