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정책 추진
-
'주거안정장학금' 첫 시행···대학생 주거 부담 줄인다
김용민 앵커>다가오는 3월이면 대학교 개강을 앞두고 있습니다.그런데 대학을 가기 위해 타지로 나와 생활하고 있는 대학생들에게는 등록금과 함께 주거 관련 비용 부담도 만만치 않을 텐데요.김현지 앵커>이런 학생들을 위해 새롭게 신설된 장학금이 있습니다.원거리 대학 진학으로 경제적 부담이 큰 저소득 대학생들에게 주거 관련 비용을 지원하는 건데요.자세한 내용 교육...
-
"하루 한 끼 든든하게" 자립준비청년 식비 지원
임보라 기자>자립을 준비하는 청년에게 든든한 한 끼를 지원합니다!우정사업본부의 자립준비청년 식비지원사업, '청년밥심 스타트 온(溫) 사업'이 올해도 진행되는데요.지난해 1월부터 이달 말까지 아동양육시설에서 퇴소한 자립준비청년 245명에게 10개월간 매월 30만 원을 지원할 예정입니다.지원금은 매월 1일, 식비 전용 선불카드에 지급됩니다.우체국공익재단과 한국...
-
문체부 '2030자문단' 2기 출범···청년 정책 발굴·제안
최대환 앵커>문화체육관광부 제2기 2030자문단이 출범했습니다.2기 자문단은 지역 기반 문화예술·콘텐츠 기획자와 관광기업 창업자, 스포츠 국제 심판과 전 국가대표 선수 등 19세에서 39세 청년 20명으로 구성됐습니다.자문단은 앞으로 2년 동안 정책 모니터링과 제언 등 청년층 문화 인식과 수요를 전달하는 역할을 맡습니다.발대식에 참석한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
2025년 달라지는 청년일자리 정책은?
김용민 앵커>정부가 별다른 이유 없이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이른바 '쉬었음' 청년의 노동시장 복귀를 위한 지원에 나섰습니다.또, 사회적으로 고립된 니트청년에게 특화된 일자리도 지원한다고 하는데요.김현지 앵커>청년들의 노동시장 유입과 취업 역량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지원은 무엇인지 한국노동연구원 김유빈 선임연구위원과 이야기 나눠봅니다.안녕하세...
-
미취업청년 5만 명 발굴···직접일자리 110만 개 제공
최대환 앵커>올해 고용노동부의 업무계획은 일자리 지원에 중점을 뒀습니다.미취업 청년 5만 명에게 취업 지원 프로그램 연계를 지원하고, 1분기 안에 직접 일자리 110만 개를 제공한다는 계획입니다.김경호 기자가 보도합니다.김경호 기자>다음달 졸업을 앞두고 모교의 청년고용올케어 플랫폼을 찾은 정시은씨.진로 설계와 스펙 관리 등 체계적인 지원을 받고 자신감을 얻...
-
2025학년도 1학기 학자금 대출 1월 3일부터 신청하세요!
김현지 기자>고금리와 고물가로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들을 위한 2025학년도 1학기 학자금 대출 신청이 3일부터 시작됩니다.등록금 대출은 4월 24일까지, 생활비 대출은 5월 20일까지 신청을 받는데요.학생 본인이 한국장학재단 누리집이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대출 금리는 지난해와 같은 1.7%인데요.이로써 학자금 대출 금리는 2021학년...
-
대중교통비 환급 K-패스 혜택 확대 [오늘의 이슈]
김경호 앵커>대중교통 이용자들에게 큰 사랑을 받아온 K-패스가 올해부터는 더욱 큰 혜택이 주어진다고 하는데요.관련 내용 차영주 아이에셋경제연구소장과 함께 살펴봅니다.(출연: 차영주 / 아이에셋경제연구소장)Q. K-패스 혜택과 대중교통 이용 효과는?Q. K-패스 이용처 확대 범위는?Q. K-패스 다자녀 가구 유형 혜택은?
-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확대···연 9.5% 적금 효과
박성욱 앵커>내년부터 청년층의 자산형성을 돕는 '청년도약계좌'의 정부 기여금이 확대됩니다.월 최대 3만 3천 원까지 지원 받을 수 있는데요.이로써, 5년 간 매달 70만 원씩 적금하면 5천만 원 가량의 목돈을 만들 수 있게 됩니다.내년도 강화되는 청년도약계좌 지원 내용에 대해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장과 자세히 이야기 나눠봅니다.(출연: 이인철 / 참조은경제...
-
2025년 국가장학금 "더 넓고, 더 두텁게"
김경호 앵커>내년부터 국가장학금 지급 범위가 소득 9구간 이하로 확대됩니다.정부와 한국장학재단은 대학생들의 등록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데요.자세한 이야기 서울 스튜디오 연결해 살펴봅니다.박성욱 앵커!박성욱 앵커>네, 대담 이어갑니다.국가장학금 지원 대상 확대, 주거안정지원금 신설 등 내년 달라지는 국가장학금 제도에 대해 한국...
-
20~34세 청년층 대상 정신건강검진 확대
최대환 앵커>내년부터 20~34세 청년은 국가건강검진 시 2년 주기로 정신건강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보건복지부는 오늘, 제3차 국가건강검진위원회를 열고 청년을 대상으로 정신검진 주기를 단축하고, 검사를 확대하는 방안을 의결했습니다.현재 우리나라 국민의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률은 12.1%로 다른 국가보다 현저히 낮고, 청년층의 경우 16.2% 수준으로 나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