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정책 추진
-
2025학년도 1학기 학자금 대출 1월 3일부터 신청하세요!
김현지 기자>고금리와 고물가로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들을 위한 2025학년도 1학기 학자금 대출 신청이 3일부터 시작됩니다.등록금 대출은 4월 24일까지, 생활비 대출은 5월 20일까지 신청을 받는데요.학생 본인이 한국장학재단 누리집이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대출 금리는 지난해와 같은 1.7%인데요.이로써 학자금 대출 금리는 2021학년...
-
대중교통비 환급 K-패스 혜택 확대 [오늘의 이슈]
김경호 앵커>대중교통 이용자들에게 큰 사랑을 받아온 K-패스가 올해부터는 더욱 큰 혜택이 주어진다고 하는데요.관련 내용 차영주 아이에셋경제연구소장과 함께 살펴봅니다.(출연: 차영주 / 아이에셋경제연구소장)Q. K-패스 혜택과 대중교통 이용 효과는?Q. K-패스 이용처 확대 범위는?Q. K-패스 다자녀 가구 유형 혜택은?
-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확대···연 9.5% 적금 효과
박성욱 앵커>내년부터 청년층의 자산형성을 돕는 '청년도약계좌'의 정부 기여금이 확대됩니다.월 최대 3만 3천 원까지 지원 받을 수 있는데요.이로써, 5년 간 매달 70만 원씩 적금하면 5천만 원 가량의 목돈을 만들 수 있게 됩니다.내년도 강화되는 청년도약계좌 지원 내용에 대해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장과 자세히 이야기 나눠봅니다.(출연: 이인철 / 참조은경제...
-
2025년 국가장학금 "더 넓고, 더 두텁게"
김경호 앵커>내년부터 국가장학금 지급 범위가 소득 9구간 이하로 확대됩니다.정부와 한국장학재단은 대학생들의 등록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데요.자세한 이야기 서울 스튜디오 연결해 살펴봅니다.박성욱 앵커!박성욱 앵커>네, 대담 이어갑니다.국가장학금 지원 대상 확대, 주거안정지원금 신설 등 내년 달라지는 국가장학금 제도에 대해 한국...
-
20~34세 청년층 대상 정신건강검진 확대
최대환 앵커>내년부터 20~34세 청년은 국가건강검진 시 2년 주기로 정신건강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보건복지부는 오늘, 제3차 국가건강검진위원회를 열고 청년을 대상으로 정신검진 주기를 단축하고, 검사를 확대하는 방안을 의결했습니다.현재 우리나라 국민의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률은 12.1%로 다른 국가보다 현저히 낮고, 청년층의 경우 16.2% 수준으로 나타...
-
당정, 청년 취업 지원 예산 확대···'취약청년 지원법' 제정
최대환 앵커>정부와 여당이 청년들이 실질적으로 원하는 분야에 취업할 수 있도록 돕는 예산을 늘리기로 했습니다.또 경제활동 없이 쉬는 청년의 수가 늘고 있는 만큼, 취약 청년을 체계적으로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한 법률 제정도 추진됩니다.이리나 기자입니다.이리나 기자>당정이 당정 협의회를 열고 청년층 취업 지원 대책을 내놓았습니다.당정은 청년이 실제 원하는 취업...
-
확 줄어든 학자금 대출 이자 [돈이 보이는 VCR]
확 줄어든 학자금 대출 이자 [돈이 보이는 VCR](출연: 이양주 / 교육부 청년장학지원과장)
-
저소득 대학생 '주거안정장학금' 지원···청년 일경험 참여자 확대 [뉴스의 맥]
최대환 앵커>경제관계장관회의 논의 내용 취재기자와 함께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김경호 기자, 회의에서 논의된 청년 정책 먼저 살펴볼까요?김경호 기자>정부는 취업부터 주거안정, 자산형성을 돕는 청년 정책 패키지를 발표했습니다.우선 취업 지원 분야에서는 재학생에게 맞춤형 고용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학을 50곳에서 60곳으로 확대하고요.미취업 청년에게 일경험 기회...
-
청년특화주택 1천150가구 공급···"주거비 부담 완화"
김용민 앵커>청년층 주거비 부담을 낮추기 위해 주택 공급을 확대하고 있습니다.앞서 국유지를 활용한 청년 주택 2만2천 가구를 공급한다고 발표한 데 이어, 우수한 입지에 주거공간을 제공하는 '청년특화주택'도 공급할 예정인데요.강민지 앵커>입주를 앞둔 청년 주택 현장에, 김유리 기자가 가봤습니다.김유리 기자>(장소: 덕현지구 (경기도 안양시))남동향 배치로 햇...
-
청년도약계좌 도입 1년···133만 명 가입
모지안 앵커>금융위원회는 청년층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청년도약계좌에 지난 1년간 133만 명이 가입했다고 밝혔습니다.청년도약계좌는 소득 여건에 맞는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이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정책금융상품으로, 5년간 매달 70만 원씩 납입하면 만기 시 최대 5천만 원 안팎의 목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부분인출서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