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대학생들, 중국 독립운동 유적지를 가다

국민리포트 토요일 10시 50분

대학생들, 중국 독립운동 유적지를 가다

등록일 : 2015.07.10

앵커>

광복 70년, 우리나라가 광복을 맞이할 수 있었던 건 항일독립운동을 한 선열들의 희생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대학생들이 중국 내 항일운동 발자취를 따라가며 선열들의 나라사랑 정신을 배웠습니다.

박혜란 국민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사내용]

독립 전투 중 첫 승리를 거두며 일본의 침략 야욕을 물리친 봉오동 전투 독립군의 사기를 높여 청산리 대첩으로 이어진 봉오동 전투 전적지에서는 아직도 그때의 함성이 울리는 듯 합니다.

대학생들은 기념비에 헌화 묵념하고 독립투사들의 숭고한 헌신을 기립니다.

인터뷰> 김재은 / 전남대 사학과 3학년

"직접와서 보니까 현장감을 더 느낄 수가 있었고요 실제로 봉오동전투에서 선조들이 싸웠던 지형을 보니까 감정이 더 새롭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연변조선자치주에 있는 용정중학교입니다.

용정에 있는 6개 중학을 통합해 옛 대성중학교 터에 세운 항일 독립운동 교육의 산실입니다.

학교 내 기념관에 전시된 항일 운동 자료들은 당시의 현실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시인 윤동주 생가도 학생들에게 배움의 터가 됐습니다.

학생들은 학생들은 윤동주 기념관과 교정에 세워진 시비가 둘러보고 항일시인의 정신과 삶을 직접 보고 작은 마음도 보탭니다.

인터뷰> 마휘진 / 부산대 사학과 4학년

"1천 원이라도 보탬이 되면 좋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고, 먼 만주땅에서도 우리민족을 알리고 이런 장소가 더 늘었으면 좋겠고, 좀 더 시설 같은 것도 개선이 되면 좋지 않을까 라는생각으로 성금을 했습니다."

온갖 고초 속에서 독립운동을 하다 이름도 없이 산화한 영령들의 숭고한 넋이 담겨 있는 항일무명영웅기념비와 북간도 용정에서 1919년 3.13 독립 시위운동 중 희생된 열사 중 13명이 안장되어 있는 의사릉을 찾은 학생들의 발걸음은 무겁기만 합니다.

인터뷰> 이광평 / 용정 3.13기념사업회장

"이곳은 우리 용정 3.13 반일운동의 정신이 소재한 곳이고, 이를 통해서 우리민족의 통일과 민족의 해방운동에 희생된 수난자들의 영혼을 기를 수 있고 앞으로 이 정신을 이어가서…"

독립기념관이 마련한 대학생 중국 내 항일 독립유적지 답사에는 전국의 17개 대학의 역사교육학, 사학 전공 학생 39명이 참여했습니다.

현장멘트>

대학생들은 중국에 있는 항일 독립운동가들의 발자취를 돌아보고 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이 주는 의미를 새삼 되새겼습니다.

연변을 시작으로 단둥과 뤼순 백두산까지 독립운동가의 발자취를 따라간 대학생들의 항일독립유적지 답사는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원의 생생한 강의와 해설이 이어진 현장 교실입니다.

인터뷰> 김헌영 / 독립기념관 교육팀장

"학생들에게 독립운동사의 이해를 확산하고 국외에 산재해 있는 우리 독립운동 유적지에 대한 관심을 재고하는데 있습니다."

광복 70년을 맞아 일제강점기 항일 독립운동가의 역사를 오늘로 불러낸 대학생들의 독립 유적지 답사는 선열들의 고귀한 정신과 독립운동사 연구의 중요성을 배운 소중한 계기가 됐습니다

중국 연변에서 국민리포트 박혜란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