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마지막 '예기' 권명화···신명 춤판 '매별 해어화'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마지막 '예기' 권명화···신명 춤판 '매별 해어화'

등록일 : 2019.07.01

박민희 앵커>
'예기'는 음악, 춤, 예절 훈련을 통해 예술가 정신을 간직한 기생을 이르는 말인데요
이 시대의 마지막 예기인 권명화 명인이 앞서 세상을 떠난 두 명인을 위해 추모의 춤사위를
펼쳤습니다.
예술인'기생'의 명맥을 꿋꿋이 이어온 권명화 명인을 오옥순 국민기자가 소개합니다.

오옥순 국민기자>
흰 천을 팔에 두르고 어깨를 들썩이며 영혼의 한을 춤으로 풀어냅니다.
작은 체구에서 나오는 춤동작 하나하나에 열정이 넘칩니다.

현장음>
“이게 들어가 그다음에 반대로. 너무 길게 빼면 안되고..”

현장음>
“하나 어깨에 올리며 이렇게 해서 이대로 돌아서 하나, 둘, 셋..”

인터뷰>
“처음에 춤을 춰가지고 마지막에는 전부 다 묶어. 한을 묶어서 풀어낸다. 여기에는 구음이 없으면 안됩니다.”

86 나이의 마지막 예기 권명화 명인.
16 나이에 대구의 기생 양성소 '대동 권번'에서 춤과 소리를 회초리를 맞으며 교육받고 예기의 길로 들어섰습니다.

현장음>
“살풀이가 전통 무용 중에서 어렵고 승무가 어렵고 다 어렵지만 아무 생각 없이 춤을 추면 의미가 없습니다.”

인터뷰> 정민주 / 대구 권명화 살풀이 전수관 소속
“항상 춤을 가르칠 때 그냥 이런데서 시시콜콜 싸우지 말고 항상 춤으로 무대가서 싸워라 그게 이기는 거라고, 춤 하나 하나를 춤꾼 관객들이 '얼쑤'할 수 있는 진짜 춤을 추라고 하세요.”

'얼~쑤'와 함께 신명나는 한 판이 무대가 펼쳐집니다.
'말을 알아듣는 꽃'이라는 의미의 해어화 공연.
예기 3인이 함께 했던 무대였지만 이번엔 권 씨 혼잡니다.
장금도, 유금선 명인이 세상을 떠나면서 이제는 배들과 함께 무대에 섰습니다
풍년을 바라는 농부의 모습을 담은 권명화 명인의 소고춤.
가벼운 몸놀림과 가녀린 손끝에서 뿜어 나오는 춤사위에 어깨가 절로 들썩입니다.
살풀이춤과 승무 등 전통 춤의 명맥을 이어온 지 70년이 넘지만 명인의 무대는 조금도 흐트러짐이 없습니다.

인터뷰> 권 명화 / 대구무형문화재 9호 '살풀이춤' 보유자
“나이가 먹으면 힘들거든요. 누군가 같이 어울려야 되고, 같이 손뼉도 치고 즉흥적으로 그러한 부분을 내가 과연 오늘 이 자리에서 이 나이에 힘있게 여러분들과 같이 잘 어울리겠느냐 이런 것이 염려가돼요.”

(영상촬영: 이홍우 국민기자)

이 시대 마지막 예기 살풀이춤 보유자인 권명화 명인 다리에 힘이 남아있는 한 춤을 춘다는 열정으로 전통춤의 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오옥순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