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책 빌려주는 '동네 서점 바로 대출제' 인기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책 빌려주는 '동네 서점 바로 대출제' 인기

등록일 : 2019.07.09

박민희 앵커>
자신이 읽고 싶은 책을 도서관에서 빌려보기가, 때로는 쉽지 않은데요.
베스트셀러를 비롯해 다양한 책을. 동네 서점에서 빌려볼 수 있는 색다른 제도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어려움을 겪는 동네 서점을 살리는데도, 한몫 톡톡히 하고 있는데요.
홍희정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홍희정 국민기자>
서울 관악구에 있는 한 동네서점, 읽고 싶은 책을 빌려주는 서점인데요.
미리 신청한 손님이 책을 받아 갑니다.

현장음>
“바로 대출 서비스 신청한 책 찾으러 왔어요.”

책을 빌리기 위해 서점에 전화를 걸어 문의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현장음>
“도서 대출제요? 앱으로 도서 대출 들어가셔서 원하시는 책 누르시고 신청만 하시면 돼요.”

서울에서는 처음으로 관악구에서 시작된 '동네서점 도서대출제', 서점 7곳이 참여했는데요..
시작된 지 2주 만에 이용 건수가 400건이 넘을 정도로 반응이 뜨겁습니다.

인터뷰> 박찬경 / 서울시 관악구
“동네서점 바로 대출제를 이용해봤어요. 2, 3일 만에 책이 오더라고요. 정말 좋았어요.”

서점에 반납된 새 책은 구청에서 연간 5천만 원의 도서구입비로 사들여 지역의 도서관에 비치하게 되는데요.
어려움을 겪는 동네서점에 도움이 됩니다.

인터뷰> 이정원 / 'ㅈ' 동네서점 운영
“단행본 매출이 전보다 10%에서 15% 정도 올랐고요. 그 외의 책들도 더 많이 사시는 거 같아서 매출에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책을 빌려보길 원하는 지역주민은 구청 통합도서 홈페이지나 모바일을 통해서 신청하면 되는데요.
대출 승인 문자가 오면 본인이 지정한 동네서점에서 빌려볼 수 있습니다.
한 번에 2권까지 1년에 12권 이내에서 2주 동안 책을 빌릴 수 있는데요.
전문 서적이나 학습서, 수험서 등은 제외됩니다.

인터뷰> 오지숙 / 서울시 관악구 문화관광체육과 주무관
“온라인 서점이나 독서율 저하 등으로 동네서점이 많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걸 저희가 알고 있습니다. 그걸 보고 지역서점 활성화 차원에서 시작하게 됐습니다.”

부천시에서는 이미 3년째 '동네서점 바로 대출제'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책을 빌려 가는 주민이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현장음>
“희망도서 반납하러 왔습니다.”

인터뷰> 유문상 / 경기도 부천시
“도서관에서는 새 책을 못 보잖아요. 바로 대출은 제가 보고 싶은 새 책들을 바로 볼 수 있는 게 가장 큰 장점이죠.”

부천시가 지난해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전년보다 '동네서점 바로 대출' 이용자가 9%,
대출 건수는 30%나 늘었는데요..
온라인 서점 때문에 어려움을 겪던 동네서점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고 있습니다.

인터뷰> 신원종 / 'ㅅ' 동네서점 운영
“한 달 희망도서 대출 이용 건수는 7백여 건 정도 되는데요. 저희 서점의 이익 창출에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영상촬영: 장경자 국민기자)

새로 나온 책을 도서관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빌려볼 수 있게 된 독서 애호가들, 비싼 책값 부담도 덜 수 있는 제도가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현장음>
“동네서점 바로 대출제 파이팅!”

색다른 정책으로 주목받고 있는 '동네서점 바로 대출제', 주민들의 독서 기회를 넓히고 침체된 동네 서점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홍희정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