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인생 기록 책에 남겨요···어르신들 '자서전' 열기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인생 기록 책에 남겨요···어르신들 '자서전' 열기

등록일 : 2019.12.04

구민지 앵커>
자서전 하면 업적을 남긴 유명인들이 쓴다고 생각하실텐데요.
요즘 자서전을 쓰며 삶을 되돌아보는 어르신들이 늘고 있습니다.
1년에 1권의 자서전을 낸 어르신들을 박선미 국민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박선미 국민기자>
(자서전 교실 / 충북 진천군)
충북 진천에서 나고 자란 최준재 어르신.
어린 나이에 경험한 봉화산 전투부터 34년 공무원 생활 그리고 은퇴 후 수박 농사까지 80년 가까운 진천 토박이 삶의 이야기가 한 권에 담겼습니다.

인터뷰> 최춘재 / 자서전 교실 참가자
"나 자신을 돌아보고 앞으로 남은 인생이 얼마 없겠지만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그런... 나는 누구인지 대답할 수 없더라고요. 그런데 선생님께서 우선 목차부터 만들어 보라고 해서 어릴 때부터 생각나는 것을 적어 넣고 기억을 더듬어 보니까 하나씩 살아온 것이 나오더라고요."

얼마 전 동생을 먼저 하늘나라로 보낸 정현경 어르신.
투병 생활을 하던 동생의 이야기에는 가족에 대한 사랑이 오롯이 담겼습니다.
아직 먼 이별에 대한 슬픔이 크지만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는 자서전이 큰 위안이 됐습니다.

인터뷰> 정현경 / 자서전 교실 참가자
"글을 쓰다 보면 시간이 언제 갔는지 몰라요. 2, 3시간은 금방, 언제 이렇게 시간이 지났지? 우리 집안의 작은 이야기를 엮어서 공유할 수 있다는 것. 아이들과 함께 공유하고 싶은 게 제일 큰 목적이었고..."

이번에 함께 자서전을 낸 마을 어르신들은 열 분인데요.
1년 동안 쓴 글을 펼쳐 놓고 인생 이야기를 나눕니다.

현장음>
"(어머니가) 나와 살고 싶어 하셨는데 그걸 못 해 드린 게 지나고 보니까 얼마나 슬픈지..."

현장음>
"과거에는 이렇게 지냈는데 지금은 이걸 재조명하고 있구나 그런 생각을..."

종이에 빼곡한 삶의 이야기와 함께 실릴 사진이 담겨있는 자서전은 어르신들의 삶에 특별한 선물입니다.

인터뷰> 봉은희 / 자서전 교실 북코치
"그룹으로 자서전 교실을 운영하는 것이 주는 좋은 점은 글도 나누지만 삶도 나누면서 동료의 모습에서 내 모습도 보고 이 과정 자체가 자기 치유, 자기와의 진정한 만남, 지난 삶을 통해 나를 새롭게 보는 것..."

이들이 함께 자서전을 낼 수 있게 된 것은 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1년 과정의 자서전 출판 사업 덕분인데요.
기억 속에 묻어 두었던 삶을 엮어 낸 자서전은 어르신들에게 잊지 못할 선물입니다.

인터뷰> 어재영 / 진천군 평생학습센터 평생교육사
"오롯이 본인의 힘으로 한 권의 책을 써 내려가는 과정으로 진행되고요. 여러 사람의 합본이 아니라 1인이 1권으로 나오는 것이 제일 특징적이라 할 수 있고 지속적인 글쓰기가 이어져 선배 시민으로서 후배 시민에게 귀감이 될 수 있도록 자서전 과정이 계속 이어가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촬영: 박성애 국민기자)

삶의 지혜를 나누고 글로 인생을 기록해 보는 진천군의 어르신 자서전 교실은 지난 2010년부터 시작돼 10년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스스로 힘으로 써낸 어르신 자서전은 개인의 삶의 기록일 뿐 아니라 시대상도 고스란히 담겨 있어 그 의미가 더욱 큽니다.

국민리포트 박선미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