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림 앵커>
청소와 경비 같은 현장 노동자들의 휴게 시설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닌데요.
열악한 휴게공간시설 개선이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과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속도를 낼 전망입니다.
자세한 내용, 곽지술 국민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곽지술 국민기자>
(경기도 수원시)
수원의 한 공공도서관의 경비원 휴게실입니다.
그리 넓은 공간은 아니지만 냉장고와 밥솥, 테이블, 옷장을 갖추고 있습니다.
간단한 식사를 하고 마음 편히 쉴 수 있습니다.
인터뷰> 용귀중 / 공공기관 경비원
“안락하게 쉴 수 있고 그거로 인해서 의욕이 넘치니까 아무래도 직장 생활의 활력이 되는 것 같기도 하고요.”
한 자치단체의 환경미화원 휴게실인데요.
10년 넘게 지하에 있다 지상으로 올라왔습니다.
환경이 달라지고 쉬는 시간 지하실까지 오가는 불편이 해소됐습니다.
청소·경비 노동자 휴게시설 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은 지자체별로 추진되고 있는데요.
경기도의 경우 13곳의 휴게소를 새로 만들거나 지상으로 옮기고 157곳은 환경을 개선했습니다.
공공부문의 휴게시설 개선 사업을 추진해 휴게시설 170여 곳을 개선하는 성과를 이끌어냈습니다.
(경기도 가평군)
주로 중증 장애인이 거주하는 가평의 한 장애인 재활 시설입니다.
15명의 직원이 주, 야간 교대 근무를 하지만 쉴 곳이 따로 없었는데요.
지자체의 지원으로 휴게실을 새로 만들었습니다.
넓은 공간에 에어컨과 싱크대도 설치하고 야간 근무자를 위한 침대도 갖췄습니다.
인터뷰> 유희경 / 사회복지사
“이렇게 쾌적하고 좋은 공간에서 저희가 쉬고 힐링의 시간을 가짐으로써 이용하는 분들에게 더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서 그게 가장 좋습니다.”
경기도의 휴게시설 개선이 시·군 보조사업으로 전환되면서 일선 지자체의 부담이 줄었습니다.
민간 부분의 휴게실 신설이나 시설 개선에 최대 3,000만 원까지 지원합니다.
올해는 사회복지시설, 산업단지 내 중소기업, 요양병원 등 17개 기관에 휴게시설을 새로 만든다는 계획입니다.
인터뷰> 조성해 / 경기도 노동복지팀장
“아직 열악한 노동 현장에서 여전히 노동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는 노동자들이 많은 것이 현실입니다. 경기도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취약 노동자 휴식권 보장을 통해 노동이 존중받는 공정한 세상 실현을 목적으로 노력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촬영: 김창수 국민기자)
지금까지 노동자의 휴식 시간은 의무지만 휴식 공간은 사업장 자율에 맡겨져 왔는데요.
'휴게시설 설치 의무화'를 골자로 한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안이 오는 8월부터 시행되는 데다 지자체도 적극 지원에 나서면서 취약 노동자의 휴게 공간 개선은 더 속도를 낼 전망입니다.
국민리포트 곽지술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