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임인년 나쁜 기운 막아요" 호랑이 유물 전시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임인년 나쁜 기운 막아요" 호랑이 유물 전시

등록일 : 2022.01.04

김태림 앵커>
2022년 새해는 임인년 '호랑이띠 해' 인데요.
우리 문화 속에 녹아있는 호랑이 관련 유물을 선보이는 특별한 전시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나쁜 기운을 막아준다는 호랑이 그림을 박혜란 국민기자가 소개해 드립니다.

박혜란 국민기자>
(대한뉴스 제965호 (1974년))


1970년대 창경원 동물원의 호랑이 가족인데요.
구경하는 사람들 앞에서 힘차게 포효합니다.
호랑이띠 해를 맞아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열린 특별 전시, 첩첩산중에서 꼬리를 치켜든 호랑이가 눈길을 끕니다.
금방이라도 뛰쳐나올 것 같은 이 그림은 근대작가인 우석 황종하가 그린 <맹호도>, 관람객들은 시선을 떼지 못합니다.

인터뷰> 김현아 / 서울시 양천구
“지금 용맹한 호랑이처럼 안 좋은 기운을 한껏 물리칠 수 있는 한 해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백호가 그려져 있는 <산신도>, 우리 민속에서 호랑이는 산신을 보좌하는 동물로 여겨졌는데요.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돼 있는 부여 은산별신제에 사용됐습니다.
보시는 그림은 호랑이와 까치를 함께 그린 19세기 작품 <작호도>.
이른바 '까치 호랑이' 그림으로 옛날에 많이 볼 수 있었는데요.
우리 조상들은 나쁜 기운을 막는 수단으로 호랑이를 활용했습니다.

인터뷰> 김영주 /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호랑이의 강력한 상징성 때문에 우리 민속에서 부적이나 그림에 호랑이가 등장해 액을 막고 나쁜 기운을 막는 기능을...”

혼례를 마친 신부가 탄 가마를 덮은 붉은 담요에 수놓은 호랑이 모습도 있고, 건물 기단부에 사용된 판석에는 호랑이 모습이 새겨져 있는데요.
모두 나쁜 기운을 막는다는 의미로 장식한 것입니다.

인터뷰> 송옥희 / 서울시 종로구
“우리 남편도 호랑이띠고요. 아이도 호랑이띠인데 우리 호랑이 두 마리 때문에 액운이 다 물러가고 건강하고 좋은 일로만 술술 풀리길 기대하면서...”

19세기 김매순이 한양의 세시풍속을 월별로 정리한 책인 <열양세시기>, 정월에는 호랑이 그림을 그려 붙이고, 단오에는 쑥으로 호랑이 형상을 만든 애호를 머리에 꽂거나 문에 매달아 잡귀를 막았다고 합니다.
호랑이 발톱 모양의 노리개와 호랑이 장식을 한 자개 바둑판, 상다리가 호랑이 다리를 닮은 호족반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단군 신화에도 등장하는 호랑이.
환웅의 배필 자리를 놓고 호랑이와 곰이 경쟁을 벌인다는 이야기를 삽화로 보여주고 있는데요.
호랑이가 우리 문화에서 숭배의 대상이었다는 점을 말해줍니다.

인터뷰> 김준철 / 서울시 마포구
“코로나19 때문에 어려운데 호랑이 기운을 받아서 우리나라도 잘 극복해 나가기를 바라는 마음이고요.”

호랑이를 친근하게 느끼게 하는 애니메이션이 눈길을 끕니다.

현장음>
"가은아, 호랑이 봐, 어때?"
"와~ 신기하다"
"그렇지? 정말 예쁘다, 귀여워"

인터뷰> 김수진 / 서울시 서초구
“가족 중에 아들, 엄마가 호랑이띠입니다. 민속박물관에서 호랑이 전시를 한다고 해서 큰 흥미를 느껴 직접 찾아오게 됐습니다.”

스포츠에서도 호랑이는 빠질 수가 없는데요.
1988년 서울올림픽 마스코트인 '호돌이' 인형과,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마스코트인 '수호랑' 인형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인터뷰> 고혜림 / 초등학생
“제가 호랑이띠라서 오늘 정말 신나는 것 같아요. 호랑이띠 파이팅!”

하지만 그 옛날 호랑이를 두려워했던 것도 사실, 호랑이에게 물려 죽는 '호환'을 막기 위한 '범굿' 모습을 슬라이드 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촬영: 박성애 국민기자)

호랑이 관련 유물과 영상 70여 점을 선보인 이번 특별 전시는 오는 3월 1일까지 계속됩니다.
나쁜 기운을 막기 위해 호랑이를 그림에 넣은 것이 우리 옛 풍속인데요.
2022년 새해는 강인한 호랑이의 기상으로 코로나19를 물리치고 희망찬 한 해가 되길 기대해 봅니다.

국민리포트 박혜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