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자유·평화 지킨 희생 '유엔군 참전국 전적지'에 가다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자유·평화 지킨 희생 '유엔군 참전국 전적지'에 가다

등록일 : 2022.04.05

박은지 앵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개월.
이에 맞선 의용군 참전과 인도적 지원이 우크라이나 국민들에게 큰 위안과 힘이 되고 있는데요.
과거 우리나라에서 평화를 지키기 위해 헌신한 용사들을 기리기 위한 발길이 늘고 있습니다.
마숙종 국민기자가 UN군 참전국 전적지를 다녀왔습니다.

마숙종 국민기자>
러시아군의 포격을 피해 전쟁터를 탈출하는 우크라이나인의 피난 행렬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비극은 6·25 한국 전쟁의 참상과 참전용사의 희생을 떠올리게 하는데요.
70년 전 1951년 4월 유엔군 용사들은 서울을 다시 점령하기 위해 가평지역으로 밀고 내려오던 중국군의 대공세를 막아냅니다.

인터뷰> 장영근 / 문화관광해설사
“이렇게 나라를 위해서 헌신한 분들 덕분에 오늘 우리가 존재한다. 이런 것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알아야 하지 않을까...”

(재인폭포 / 경기도 연천군)

높은 주상절리 절벽 사이로 흰 물줄기가 쏟아져 내립니다.
경기 북부 접경지역은 아름다운 자연 생태와 함께 자유를 지키기 위해 싸운 UN군의 헌신과 전쟁의 상흔이 남아있습니다.

인터뷰> 이정주 / DMZ 마을여행사
“경기 북부 지역에 흩어져 있는 한국전쟁 참전비와 평화수호 박물관 등을 탐방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자유수호평화박물관 / 경기도 동두천시)

전후 세대들에게 전쟁의 참상을 보여주는 테마 박물관입니다.
UN 참전 21개 나라의 정보와 6·25전쟁에 관한 자료를 영상으로 보고 퇴역한 군 장비를 타고 작동해 봅니다.

인터뷰> 김한섭 / 경기도 광주시
“참 많은 것을 느낄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 앞으로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더 열심히 살아서 자유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생각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유엔군 화장장 / 경기도 연천군)

산골짜기에 건물과 벽이 무너진 채로 덩그러니 남아있습니다.
유엔군 병사의 시신을 화장한 시설인데요.
화장터에 우뚝 솟은 굴뚝은 당시 전투가 얼마나 치열했는지를 보여 줍니다.
전쟁의 아픔이 담긴 화장장은 보는 이의 마음을 숙연하게 만듭니다.

(영국군 설마리전투 추모공원 / 경기도 파주시)

한국전쟁 당시 큰 전투가 벌어졌던 파주 설마리 일대입니다.
막대한 희생을 치르면서 중국군의 대규모 공세를 막아낸 영국군 영웅들의 모습은 긴박했던 전투 상황을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현장음> 금가현 / 백학마을 역사관 대표
"여기에 시체를 모아놓고 이곳을 끝까지 사수하다가 항복하게 된 자리입니다. (유엔군 중) 포로로 526명 잡혀갔고 67명만 생존해서 (본국으로 돌아)갔습니다."

철원과 가평, 연천, 파주 등의 6·25 격전지와 DMZ 문화유적을 돌아보는 탐방 프로그램은 이색 관광 상품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인터뷰> 장승재 / DMZ 문화원장
“유엔군 참전국 문화유적 탐방은 청소년이나 대학생들한테 자유와 평화를 소중히 여기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촬영: 김창수 국민기자)

접경 지역 곳곳에는 영웅들을 기리는 추모 전적비가 전후 세대를 맡고 있는데요.
'당신을 영원히 기억하겠습니다'
어느 전적비에 적혀있는 글이 우리 마음에 무겁게 다가왔습니다.

국민리포트 마숙종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