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15일 8.15경축사를 통해 중산층과 서민층의 민생을 적극적으로 돌보겠다는 의지를 천명했는데요, 청와대는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들어갔습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서 알아봅니다.
이경미 기자.
Q> 청와대가 밝힌 내용에는 5대 민생지표를 토대로 국민행복지수를 만들겠다는 것이 포함돼 있는데요,어떤 내용인지 전해주시죠.
A> 네, 정부는 이명박 대통령이 8.15 경축사에서 언급한 소득, 고용, 교육, 주거, 안전 등 5대 민생지표를 토대로 연내에 '국민행복지수'를 개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청와대는 “GDP, GNI 등 거시적 소득관련 지표뿐만 아니라 개인의 삶과 행복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포괄하는 지표의 필요성이 커지는 것이 세계적 추세”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국민행복지수는 경제성장뿐 아니라 인간의 행복과 삶의 질 제고에 기여하는 진정한 발전이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대안으로서 '경제적 성취와 사회발전 측정’를 포괄하는 개념이라는 것이 청와대측의 설명입니다.
이와 관련해 오는 10월 부산에서 열리는 제3차 OECD 세계포럼에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스티글리츠 교수 미 컬럼비아대 교수가 GNP, GNI 등 기존 거시경제지표를 보완·대체할 국민총행복(GNH: Gross National Happiness) 지수에 대한 발표를 할 계획입니다.
청와대는 또 이명박 대통령이 8·15 경축사에서 밝힌 소득, 고용, 교육, 주거, 안전 등 민생의 5대 중점분야에 대해 통계지표의 종합적 개발을 통해 실생활상이 제대로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입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중도실용정부의 핵심은 서민과 중산층을 포함한 민생의 개선에 있다”면서 “대단히 어려운 과제지만 5대 민생지표가 나아진다면 국가적으로 가장 큰 현안의 하나인 세계 최저수준의 출산율도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지금까지 청와대에서 KTV 이경미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