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격리·마스크 해제···3년 4개월 만에 온 '엔데믹' [뉴스의 맥]
최대환 앵커>정부가 코로나 19 엔데믹을 선언했다는 소식 앞서 전해드렸는데요.2020년 1월 20일 국내 첫 환자 발생 이후 지난 3년 4개월간 이어져 온 코로나 19 대응 과정을 취재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신국진 기자, 정부가 사실상 코로나19 엔데믹을 선언했는데요.어떤 것들이 달라지는 건지 한 번 더 짚어주시죠.신국진 기자>네, 정부는 다음 달 1...
-
6월부터 동네 의원·약국 마스크 의무 해제
최대환 앵커>우리 일상을 지배하다시피 했던 코로나19 위기단계가 내려간다니까 반갑긴 한데, 마스크는 전혀 안 써도 되는 건지 검사는 누가 언제 받아야 되는 건지, 여러 가지가 궁금하실 겁니다.이 부분에 관해서는 이혜진 기자의 설명을 들어보시죠.이혜진 기자>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해제한 가운데, 국내 방역조치도 자율기조로 전환됐...
-
격리·마스크 해제···3년 4개월 만에 온 '엔데믹' [뉴스의 맥]
최대환 앵커>정부가 코로나19 엔데믹을 선언했다는 소식 앞서 전해드렸는데요.2020년 1월 20일 국내 첫 환자 발생 이후 지난 3년 4개월간 이어져 온 코로나19 대응 과정을 취재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신국진 기자, 정부가 사실상 코로나19 엔데믹을 선언했는데요.어떤 것들이 달라지는 건지 한 번 더 짚어주시죠.신국진 기자>네, 정부는 다음 달 1일부...
-
6월부터 동네 의원·약국 마스크 의무 해제
임보라 앵커>약국과 동네 의원 내 마스크 착용 의무도 다음달부터 해제됩니다.단, 환자들이 많은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과 감염취약 시설에서는 여전히 마스크를 써야 합니다.계속해서 이혜진 기자의 보도입니다.이혜진 기자>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해제한 가운데, 국내 방역조치도 자율기조로 전환됐습니다.위기단계 하향에 따라 다음 달 1일부...
-
사상 최대 규모 방산 세일즈···세계로 뻗어 나가는 'K-방산'
윤세라 앵커>우리나라는 '세계 9위' 방산 수출 대국이 됐습니다.역대 최대 방산 수출액 달성에는 정부의 '세일즈 외교'가 한 몫 했는데요, 지난 1년, K-방산의 수출성적표를, 김민아 기자가 정리해봤습니다.김민아 기자>(장소: 육군 제8기동사단)굉음과 화염이 뿜어져 나오고, 주포가 목표지점을 정확히 타격합니다.현장음>"적의 저항세력을 완벽하게 제거하기 위해...
-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 (23. 05. 11. 11시)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 (23. 05. 11. 11시)조규홍 / 보건복지부 장관지영미 / 질병관리청장(장소: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
-
선왕릉 숲길에서 싱그러운 봄 만끽하세요
-구리 동구릉 등 9곳 숲길 개방-임보라 기자>오는 16일부터 6월 30일까지 조선왕릉 숲길 9곳이 한시 개방됩니다.개방되는 숲길은, 구리 동구릉의 '휘릉~자연학습장 숲길', 남양주 광릉 '복자기나무 숲길', 남양주 사릉 '소나무길', 서울 '태릉~강릉 숲길' 등인데요.서울 의릉 '천장산 숲길'과 파주 장릉 '북쪽 숲길', 화성 '융릉~건릉 숲길', 파주 ...
-
사상 최대 규모 방산 세일즈···세계로 뻗어 나가는 'K-방산'
송나영 앵커>지난해 우리나라는 세계 9위의 방위산업 수출국으로 올라섰습니다.역대 최대 방산 수출액 달성에는, '1호 영업사원'을 자처한 윤석열 대통령과 정부의 적극적인 세일즈 외교가 한몫을 했는데요.K-방위산업 1년의 수출 성적표를, 김민아 기자가 정리했습니다.김민아 기자>(장소: 육군 제8기동사단)굉음과 화염이 뿜어져 나오고, 주포가 목표지점을 정확히 타...
-
선왕릉 숲길에서 싱그러운 봄 만끽하세요
-구리 동구릉 등 9곳 숲길 개방-임보라 기자>오는 16일부터 6월 30일까지 조선왕릉 숲길 9곳이 한시 개방됩니다.개방되는 숲길은, 구리 동구릉의 '휘릉~자연학습장 숲길', 남양주 광릉 '복자기나무 숲길', 남양주 사릉 '소나무길', 서울 '태릉~강릉 숲길' 등인데요.서울 의릉 '천장산 숲길'과 파주 장릉 '북쪽 숲길', 화성 '융릉~건릉 숲길', 파주 ...
-
청소년 대상 마약 사범 구속수사·가중처벌
송나영 앵커>앞으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마약 공급사범들은 구속수사를 원칙으로 가중처벌될 전망입니다.또 변종 룸카페 등 새롭게 확산하는 유해 환경을 차단하기 위한 대책도 추진됩니다.윤현석 기자의 보도입니다.윤현석 기자>검찰에 따르면 청소년 마약사범은 2017년 1백19명에서 지난해 4백81명으로 4년 사이 304% 급증했습니다.온라인상에서 마약 거래와 투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