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 (22. 05. 20. 11시)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 (22. 05. 20. 11시)
김헌주 / 중앙방역대책본부 제1부본부장 (질병관리청 차장)
손영래 /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
임숙영 / 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
(장소: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
-
1분기 가구 소득 482만5천 원···역대 최대폭 증가
윤세라 앵커>
올해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10.1% 증가한 482만5천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역대 가장 큰 폭으로 늘었는데요.
통계청은 기저효과를 비롯해 취업자 수 증가 등으로, 가구 전체 소득 규모가 커졌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임보라 기자의 보도입니다.
임보라 기자>
올해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8...
-
홈택스 궁금증을 한방에 '숏폼(short-form)영상' 구축
홈택스 궁금증을 한방에 '숏폼(short-form)영상' 구축
'2021년 제58회 세무사 자격시험' 합격자 선정기준 결정 보류
민생침해 탈세자 89명 세무조사
국세청·한국자산관리공사의 환경정화 캠페인 '행복나눔, 맑게 줍킹' 봉사활동~
-
신규 환자 2만 8천여 명···위중증 274명
김경호 앵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국내 코로나19 신규 환자가 오늘(19일) 0시 기준 2만 8천130명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
입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274명, 사망은 40명입니다.
의료대응체계 현황을 보면,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16.9%이고, 감염병전담병원 중등증 병상은 19.1% 사용되고 있습니다.
-
신규 환자 2만 8천여 명···위중증 274명
송나영 앵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국내 코로나19 신규 환자가 오늘 0시 기준 2만 8천130명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
입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274명, 사망은 40명입니다.
의료대응체계 현황을 보면,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16.9%이고, 감염병전담병원 중등증 병상은 19.1% 사용되고 있습니다.
-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나무 38만 그루···22.6% 증가
김용민 앵커>
올해 4월까지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나무 수가 전년 대비 22.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산림청은 지난해 5월부터 올해 4월 말까지 제거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나무는 모두 38만 그루로, 전년 대비 7만 그루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경남 밀양시와 울산 북구, 경기 양평군, 경북 고령군 등 4곳은 피해 등급이 '심' 혹은 '중'...
-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나무 38만 그루···22.6% 증가
김경호 앵커>
올해 4월까지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나무 수가 전년 대비 22.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산림청은 지난해 5월부터 올해 4월 말까지 제거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나무는 모두 38만 그루로, 전년 대비 7만 그루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경남 밀양시와 울산 북구, 경기 양평군, 경북 고령군 등 4곳은 피해 등급이 '심' 혹은 '중'...
-
北, 누적 발열자 148만···중국서 의약품 대거 반입
김용민 앵커>
북한 내 코로나19로 인한 발열자가 어제 27만여 명 증가해 누적 발열자가 150만 명에 육박했습니다.
윤세라 앵커>
의약품 공급난을 겪던 북한이 최근 중국에서 항공기를 통해 의약품을 대거 반입했다는 소식도 전해졌습니다.
최유선 기자입니다.
최유선 기자>
어제(16일) 오후 6시 기준 북한의 신규 발열자 수는 26만9천여 명...
-
오미크론 하위 BA.4·BA.5, 국내 첫 검출
김용민 앵커>
오미크론 변이의 하위 변종인 BA.4, BA.5 바이러스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검출됐습니다.
아프리카와 유럽을 넘어 아시아까지 확산 중인 이 바이러스는 기존 변이보다 전파력이 더 빠른 것으로 추정되는데요.
자세한 소식은 이혜진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이혜진 기자>
BA.4와 BA.5 바이러스는 올해 초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처음 보고돼...
-
오미크론 하위 BA.4·BA.5, 국내 첫 검출
임보라 앵커>
오미크론 변이의 하위 변종인 BA.4, BA.5 바이러스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검출됐습니다.
아프리카와 유럽을 넘어 아시아까지 확산 중인 이 바이러스는 기존 변이보다 전파력이 더 빠른 것으로 추정되는데요.
자세한 소식은 이혜진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이혜진 기자>
BA.4와 BA.5 바이러스는 올해 초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처음 보고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