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코로나19 정례 브리핑 (21. 10. 14. 14시)
코로나19 정례 브리핑 (21. 10. 14. 14시)
권준욱 / 중앙방역대책본부 제2부본부장
홍정익 /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예방접종관리팀장
(장소: 질병관리청 브리핑실)
-
코로나 항체검사 양성이면 접종완료자 혜택 받을 수 있나? [사실은 이렇습니다]
최대환 앵커>
언론보도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짚어보는 ‘사실은 이렇습니다’ 시간입니다.
최유선 팩트체커 전해주시죠.
최유선 팩트체커>
1. 코로나 항체검사 양성이면 접종완료자 혜택 받을 수 있나?
코로나19 항체 검사, 혈액을 통해 코로나19 감염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항체검사를 백신 접종 후에 항체가 생겼는지 파악하기 위해 ...
-
소방청, 유해화학가스 누출사고 대비 나 몰라라? [사실은 이렇습니다]
최대환 앵커>
계속해서 다음 주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안전사고는 언제, 어디에서 일어날지 알 수가 없습니다.
평소에 미리 대비하고 예방하는 방법이 가장 최선의 길이죠.
최근 5년 간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안전사고 중 하나가 바로, 유해화학가스 출사고입니다.
그런데, 일각에서 이러한 유해화학가스 누출사고 대비에 소방청이 소극적인 업무태도를 취하고...
-
1천500명대 확진···변이 3천405건 추가
신경은 앵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천 500명 대'를 기록했습니다.
환자 수가 줄어들고 있지만, '델타 변이 확산'으로 안심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혜진 기자입니다.
이혜진 기자>
신규 확진자는 모두 1천584명.
이 가운데 지역발생이 1천571명입니다.
(국외유입 13명)
지역별로는 서울 581명, 경기 506명 등이 나왔...
-
1천500명대 확진···변이 3천405건 추가
김용민 앵커>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1천500명대를 기록했습니다.
환자 수가 전반적으로 줄고 있지만, 이동량 증가와 함께 델타 변이가 빠르게 확산하고 있어 안심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혜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혜진 기자>
신규 확진자는 모두 1천584명.
이 가운데 지역발생이 1천571명입니다.
(국외유입 13명)
지역별로...
-
지난달 취업자 67만 명 증가···7년 반 만에 '최대'
김용민 앵커>
9월 취업자 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67만1천 명 증가했습니다.
7년 6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을 기록했는데요.
특히 청년고용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기혁 기자입니다.
문기혁 기자>
지난달 고용동향에 따르면 취업자수는 2천768만3천 명으로 1년 전보다 67만1천 명 증가했습니다.
2014년 3월 이후 7년...
-
일상회복지원위 출범···"백신패스 검토"
박천영 앵커>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나아가기 위한 '코로나19 일상회복지원위원회'가 출범했습니다.
첫번째 회의에선 일상회복을 위한 3대 방향이 제시됐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이혜진 기자, 자세한 내용 전해주시죠.
이혜진 기자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네, 오늘(13일) 오전 코로나19 일상회복지원위원회 첫 회의가 열렸는데요.
민관합동 일...
-
지난달 취업자 67만 명 증가···7년 반 만에 '최대'
박천영 앵커>
9월 취업자 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67만1천 명 증가했습니다.
7년 6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을 기록했는데요.
특히 청년고용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기혁 기자입니다.
문기혁 기자>
지난달 고용동향에 따르면 취업자수는 2천768만3천 명으로 1년 전보다 67만1천 명 증가했습니다.
2014년 3월 이후 7년...
-
코로나19 정례 브리핑 (21. 10. 13. 14시)
코로나19 정례 브리핑 (21. 10. 13. 14시)
이상원 /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
홍정익 /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예방접종관리팀장
(장소: 질병관리청 브리핑룸)
-
9월 취업자수 67만명↑···7년 반 만에 최대 증가
임보라 앵커>
코로나19 4차 유행에도 9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67만명 넘게 증가했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768만3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67만1천명 늘었습니다.
취업자 수는 지난 3월부터 7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고 증가 폭은 2014년 3월 이후 7년 6개월 만에 가장 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