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치유농업사' 양성기관 입학 바늘구멍···선발기준도 제각각? [사실은 이렇습니다]
최대환 앵커>
계속해서 다음 주제 자세히 살펴 보겠습니다.
최근, 건강증진과 질병 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 농업이나 농촌의 자원을 활용한 치유농업이 떠오르고 있습니다.
일명, 자연이 주는 백신이라고도 불리는데요.
이러한 치유농업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국내에서는 올해 처음으로 치유농업사 국가자격시험이 시행됩니다.
그런데, 일각에서는 ...
-
아스트라제네카는 1차, 모더나는 2차가 더 아프다? [사실은 이렇습니다]
최대환 앵커>
언론보도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짚어보는 ‘사실은 이렇습니다’ 시간입니다.
최유선 팩트체커 전해주시죠.
최유선 팩트체커>
1. 아스트라제네카는 1차, 모더나는 2차가 더 아프다?
아스트라제네카는 1차 접종 후, 모더나는 2차 접종 후 더 아프다는 경험담이 나오고 있습니다.
질병청 자료를 보니 실제로 아스트라 제네카는 1차, 모더...
-
1차접종 60%···백신 580만 회분 추가 도착
박성욱 앵커>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순조롭게 진행되면서 국민 60%가 1차 접종을 마쳤습니다.
신경은 앵커>
백신은 오늘과 내일 이틀에 걸쳐, 580만 회분이 들어옵니다.
이혜진 기자입니다.
이혜진 기자>
지금까지 한 번 이상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은 3천87만여 명입니다.
국민 60.1%가 1차 접종을 마쳤습니다.
18세 이상 성인의...
-
중환자·임산부용 '더 큰 구급차' 추가 배치
박성욱 앵커>
현재 사용되는 구급차의 대부분은 공간이 좁아, 구급 대원이 환자 처치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응급 처치에도 한계가 있습니다.
이런 점을 보완한 중형 구급차가, 전국에 100대 이상 추가 배치됩니다.
박천영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박천영 기자>
전국에 1천500대 이상 사용되고 있는 소형구급차의 내부입니다.
환자 침대와 구급대원...
-
1차접종 60%...백신 580만회분 추가 도착
김용민 앵커>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순조롭게 진행되면서 국민 60%가 1차 접종을 마쳤습니다.
백신은 오늘과 내일 이틀에 걸쳐 580만회분이 들어옵니다.
이혜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혜진 기자>
지금까지 한 번 이상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은 3천87만여 명입니다.
국민 60.1%가 1차 접종을 마쳤습니다.
18세 이상 성인의 69.9%가 한...
-
일상회복 기대감···"10월 말 '위드 코로나' 검토"
김용민 앵커>
앞서 전해드린 것처럼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한층 속도를 내면서 일상으로의 회복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는데요.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10월 말쯤 일상 속 코로나, 즉 '위드 코로나'로 전환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수복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수복 기자>
정은경 질병관리 청장이 국회 예결위에 출석해 각종 방역조치를 완화...
-
코로나19 정례 브리핑 (21. 09. 07. 14시)
코로나19 정례 브리핑 (21. 09. 07. 14시)
이상원 /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
김기남 /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접종기획반장
(장소: 질병관리청 브리핑룸)
-
면역억제제 복용자 코로나 백신 맞아도 될까? [사실은 이렇습니다]
최대환 앵커>
언론보도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짚어보는 ‘사실은 이렇습니다’ 시간입니다.
최유선 팩트체커 전해주시죠.
최유선 팩트체커>
1. 면역억제제 복용자 코로나 백신 맞아도 될까?
우리 몸을 지키는 면역 체계가 오히려 내 몸의 신체 조직을 공격하는 것을 자가면역질환 이라고 하는데요.
대표적으로 류마티스 관절염이 있습니다.
이 병을 앓는...
-
1천300명대···"일상회복 방안, 유행 안정 뒤 검토"
박성욱 앵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주말 영향으로 천300명대로 내려갔습니다.
이런 가운데 오늘부터 거리 두기 단계가 한 달간 연장에 들어갔습니다.
신경은 앵커>
방역 당국은 '단계적 일상회복 방안'은, 유행이 안정된 후에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혜진 기자입니다.
이혜진 기자>
신규 확진자는 모두 1천375명입니다.
주...
-
55~59세 2차접종···백신 유효기간 전수점검
박성욱 앵커>
코로나19 백신 수급 상황이 원활해지면서 접종 속도도 빨라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일부 기관에서 백신을 잘못 접종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는데요.
신경은 앵커>
정부는 '백신 유효기간'을 전수 점검 하고,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이수복 기자입니다.
이수복 기자>
현재까지의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자수는 3천만 명으로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