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월 소득 512만 원 부부까지···난임 시술비 지원 확대
임소형 앵커>
올해부터 임신에 어려움을 겪는 난임 부부의 시술비 부담이 줄어들 전망입니다.
지원 대상과 항목이 대폭 확대되는데요, 자세한 내용, 박천영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박천영 기자>
1. 월 소득 512만 원 부부까지···난임 시술비 지원 확대
난임 치료를 위해 병원을 찾는 사람은 한해 20만 명에 달합니다.
2017년 정부가 지원한...
-
설 명절 앞두고 소방안전 점검
임소형 앵커>
소방청이 설 명절을 앞두고 오늘부터 특별 소방안전 점검을 진행합니다.
백화점 등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는 불시 단속할 예정인데요.
곽동화 기자입니다.
곽동화 기자>
사람으로 북적거려야 할 시장이 온통 잿더미입니다.
설 대목을 앞두고 발생한 대형 화재로 120여 개 점포 가운데 116개 점포가 사라졌습니다.
명절에는 가...
-
월 소득 512만 원 부부까지···난임 시술비 지원 확대
신경은 앵커>
올해부터 난임 부부의 시술비 부담이 줄어들 전망입니다.
지원 대상과 항목이 대폭 늘어나는데요.
자세한 내용, 박천영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박천영 기자>
1. 월 소득 512만 원 부부까지···난임 시술비 지원 확대
난임 치료를 위해 병원을 찾는 사람은 한해 20만 명에 달합니다.
2017년 정부가 지원한 난임 시술을 통...
-
설 명절 앞두고 소방안전 점검
유용화 앵커>
소방청이 설 명절을 앞두고 내일부터 특별 소방 안전 점검을 진행합니다.
백화점 등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는 불시 단속할 예정입니다.
곽동화 기자입니다.
곽동화 기자>
사람으로 북적거려야 할 시장이 온통 잿더미입니다.
설 대목을 앞두고 발생한 대형 화재로 120여 개 점포 가운데 116개 점포가 사라졌습니다.
명절에는 가...
-
"과속 교통사고 엄벌" 국민청원 답변
유용화 앵커>
과속 추돌사고로 인해 가족이 크게 다쳤다며 엄벌을 호소한 청와대 국민청원이 있었는데요.
신경은 앵커>
이와 관련해 민갑룡 경찰청장은 초과속 운전에 대해 '최고징역'까지 처벌하는 개정안 입법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주요 내용 정리해 봤습니다.
정혜승 / 청와대 디지털소통센터장
민갑룡 / 경찰청장
-
월 소득 512만 원 부부까지···난임 시술비 지원 확대
김용민 앵커>
올해부터 임신에 어려움을 겪는 난임 부부의 시술비 부담이 줄어들 전망입니다.
지원 대상과 항목이 대폭 확대되는데요, 자세한 내용, 박천영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박천영 기자>
1. 월 소득 512만 원 부부까지···난임 시술비 지원 확대
난임 치료를 위해 병원을 찾는 사람은 한해 20만 명에 달합니다.
2017년 정부가 지원...
-
설 명절 앞두고 소방안전 점검
김용민 앵커>
소방청이 설 명절을 앞두고 내일부터 특별 소방안전 점검을 진행합니다.
백화점 등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는 불시 단속할 예정인데요.
곽동화 기자입니다.
곽동화 기자>
사람으로 북적거려야 할 시장이 온통 잿더미입니다.
설 대목을 앞두고 발생한 대형 화재로 120여 개 점포 가운데 116개 점포가 사라졌습니다.
명절에는 ...
-
새해 감염병 오염지역 변경···희귀질환 지원확대
임소형 앵커>
새해가 되면 많은 분들이 건강 관리를 다짐하죠.
새해 건강 대책을 이혜진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이혜진 기자>
지난해 9월 메르스 사태가 무사히 종료됐지만, 올해도 경계를 늦출 수는 없습니다.
새해부터는 해외에서 국내로 전염될 가능성이 큰 감염병 오염국가가 늘기 때문에 여행객의 더 철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새로 지정된 콜...
-
'13월의 보너스' 연말정산···꼼꼼히 챙기세요 [정책인터뷰]
임소형 앵커>
'13월의 보너스'로 불리는 연말정산이 오는 15일부터 시작되는데요.
김세진 국민기자가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출연: 이판식 과장 / 국세청 원천세과)
◇ 김세진 국민기자>
저는 지금 국세청에 나와 있습니다.
연말정산, 어떻게 하면 더 잘 챙길 수 있을지 원천세과 이판식 과장님과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
-
새해 감염병 오염지역 변경···희귀질환 지원확대
임보라 앵커>
새해 많은 분들이 소망하는 가장 큰 목표, 아무래도 건강이 아닐까 싶은데요.
각종 질병으로부터 건강을 지키기 위해 새해에 꼭 알아둬야 할 정책,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이혜진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이혜진 기자>
지난해 9월 메르스 사태가 무사히 종료됐지만, 올해도 경계를 늦출 수는 없습니다.
새해부터는 해외에서 국내로 전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