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핵실험과 관련해 방사능 오염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12일 과학기술부가 방사능 감시 현황과 대책을 밝혔습니다.
김현아 기자>
Q> 북한 핵실험 이후 방사능 오염에 대한 감시 결과는 어떻게 나왔습니까?
A> 과학기술부는 북한 핵실험이 우리나라에 미칠 방사능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비상대책반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과기부는 지난 9일 오전부터 12일 정오까지 우리나라 전역의 방사능 준위는 평상시와 같은 수준으로, 핵 실험에 따른 영향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과기부는 9일 12시를 기해 전국 26곳에 설치된 무인 방사선 자동감시망의 감시주기를 15분에서 2분 단위로 단축 운영하고 전국 12개 방사능 측정소의 기능을 비상시 방사능 감시체제로 변환해 24시간 공기시료를 채집해 매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설명했습니다.
Q> 12일 브리핑에선 지하수 오염 가능성을 비롯한 해양 오염 대책도 발표됐죠?
A> 과기부는 지하수의 방사능 오염 가능성과 관련해, 지하수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기 때문에 백두대간을 따라 남한으로 이동하는 것은 불가능해서 남한의 지하수를 직접적으로 오염시킬 가능성은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만일의 경우에 대비해 최북단과 인구밀집 지역인 서울 강릉 춘천 3개 지방측정소에서 12일부터 주 1회 지하수 시료를 채취해 정밀 핵종분석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또 해양 오염에 대비해 근해와 외해의 해수와 퇴적물을 채취해서 방사능 분석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북한이 핵실험을 발표한 이후 비가 내린 강릉, 춘천 지역에서 빗물 시료를 채취해 분석중인데, 그 결과는 내일 중에 나올 예정입니다.
아울러 국민 보호 차원에서 방사능 감시를 강화해 방사선 준위가 높아질 경우 필요한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