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보리가 대북 제재 결의안을 채택함에 따라 관련국간의 대북 제재를 위한 움직임이 빨라졌습니다.
미국의 라이스 국무장관이 대북제재를 위한 세부협의 차원에서 오늘부터 한중일 3국 순방에 나섭니다.
기자>
대북 제재 이행 수위를 놓고 관련국들간의 외교적 접촉이 본격화 되고 있습니다.
라이스 국무장관은 17일부터 22일까지 한중일 3국을 순방하며 대북 결의안 이행 방안 마련에 들어갑니다.
라이스 장관은 강경한 제재를 원하는 일본과 먼저 만나 세부사항에 대한 조율을 거친 뒤 중국과 한국의 입장을 들을 예정입니다.
중국은 해상검문 등의 제재 조치의 강도에 대해 이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중국이 결의안에 서명한 사실을 거듭 인식시키며 중국의 책임을 강조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에 대해서도 PSI 즉,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 구상에 공식적으로 참여할 것을 요구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정부는 PSI가 안보리 결의안과 직접적 연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참여시에 발생할 위험성을 고려해 신중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아소 일본 외상은 라이스 장관과 회담 후 한국을 방문, 19일 서울에서 한미일 3국 장관회담을 열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현재 뉴욕에 머물고 있는 반기문 장관은 회담일정에 맞춰 귀국할 예정입니다.
한편, 프라드코프 러시아 총리도 방한해 한명숙 총리와 북한 핵실험 사태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