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갑작스런 핵실험 발표로 정부 각 부처도 10월3일 하루종일 민첩하게 움직였습니다. 국방부등 정부부처는 어떤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Q> 북한의 핵실험 발표에 대해 통일부와 국방부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습니까?
A> 대북 주무부처인 통일부는 10월3일 소식이 전해진 직후 이종석 장관 주재로 긴급 간부회의를 열고 북한이 핵실험 의사를 밝힌 배경과 성명 내용을 분석하고 남북관계에 미칠 영향과 파장을 분석했습니다.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의 움직임도 긴박해 보였습니다.
윤광웅 국방장관은 북한 외무성 성명이 나온 직후 국방부 집무실로 복귀해 주요 간부들과 대책을 논의했습니다.
윤 장관은 이상희 합참의장과 이성규 정보본부장, 김태영 작전본부장 등 주요 간부들과 긴급 회의를 소집하고 북한 외무성의 성명 의도를 분석하는 한편 군사대비태세 등을 점검했습니다.
국방부는 권안도 정책홍보본부장을 단장으로 한 위기조치반을 구성해, 운영하면서 북한의 핵실험 동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군사대비태세 수준을 단계적으로 정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Q> 10월3일에는 반기문 장관의 유엔사무총장으로 유력하다는 낭보와 북한의 핵실험 악재가 교차했습니다. 외교부의 움직임은 어떠했습니까?
A> 외교부는 공동의 포괄적 접근방안을 통해 북한을 설득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이 한창인 가운데 나온 북한의 핵실험 의사 천명이 6자회담 재개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습니다.
한편에서는 반기문 장관이 사실상 차기 유엔 사무총장으로 굳혀진 이후에 북한의 발표가 나와 선거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아 다행이라는 안도의 분위기도 느껴집니다.
정부는 10월4일 오전 청와대 안보실장 사회로 외교안보 부처 장관과 국정원장, 국무조정실장 등이 참석하는 안보정책조정회의를 열어 추가적인 대책을 마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