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유수입 줄여야"···'피해 최소화 고심'
미국이 우리 정부에 이란산 원유 수입 감축에 동참해 달라고 강하게 요구했습니다.
정부는 원유 수입을 줄이더라도 우리 경제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인데, 과연 얼마나 줄여야 할지 고민이 깊습니다.
이해림 기자입니다.
이란 원유 금수 조치를 담은 미국 국방수권법 발효 이후 처음으로 이뤄진 한미간 협의.
외교통상부를 시작으로 기획재정부와 지식경제...
방송일자 : 2012.01.18
-
美 "석유 금수 제재"…이란 "즉각 해협 봉쇄"
이렇게 이란의 경제 제재가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과 이란간의 긴장감도 일촉즉발에 다다르고 있습니다.
이란은 미국이 제재를 가할 경우 호르무즈 해협을 즉각 봉쇄할 것이라고 밝혀, 중동은 다시 전운이 감돌고 있습니다.
정은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은 이란에 호르무즈 해협 봉쇄와 핵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해 석유 수츨 금지 조취를 취할 것이라고 다시 ...
방송일자 : 2012.01.18
-
김 총리, 에너지 안정 수급채널 구축
김황식 국무총리가 오만과 아랍에미리트에방문을 마치고 오늘 낮 귀국합니다.
국제 에너지시장이 불안한 상황에서 김 총리의 중동 방문은 안정적인 에너지 수급채널을 구축했다는 평가입니다.
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김황식 국무총리가 오만과 아랍에미리트 등 중동순방을 마치고 오늘 귀국합니다.
김총리는 카부스 오만 국왕 등 지도자들과 만나 원유 등 에너지를 ...
방송일자 : 2012.01.18
-
취약·소외계층 '따뜻한 설 나기' 지원
올해 설 연휴는 추운 날씨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경기도 좋지 않아서 걱정들이 많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소외된 이웃에 대한 관심이 필요할 텐데요.
취약계층에 대한 명절나기 지원, 어떤 내용들이 있고, 또 무엇이 필요한지 취재기자와 알아보겠습니다.
김경아 기자, 어서 오십시오.
먼저 날씨가 추워지면 난방비 걱정하는 분들 많으실 텐데요.
정부...
방송일자 : 2012.01.18
-
굿모닝 지구촌
굿모닝 지구촌
방송일자 : 2012.01.18
-
이 대통령 "강원도, 동계올림픽 메카 돼야"
이명박 대통령이 강원도 평창을 방문해 훈련중인 동계올림픽 국가 대표선수들을 만나 격려하고 2018년 동계올림픽 성공 개최를 다짐했습니다.
박영일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명박 대통령과 피겨여왕 김연아, 스피드스케이트 이승훈 선수 등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의 주역들이 모여 한 목소리로 동계올림픽 성공 개최를 기원합니다.
김연아 선수는 평창동계올림픽 집행위원...
방송일자 : 2012.01.18
-
설 연휴 전국 곳곳서 눈이나 비
이번 설 연휴에는 전국 곳곳에 눈이나 비가 내리고 설 당일과 마지막날 한파가 들이닥치는 등 연휴 내내 날씨가 좋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기상청은 설 전날인 22일 오후부터 차가운 대륙성 고기압이 확장해 바람이 강하게 불면서 추워지겠다고 예보했습니다.
대륙성 고기압의 세력은 점점 강해져 설날인 23일은 평년보다 1∼4도, 연휴 마지막날인 24일은...
방송일자 : 2012.01.18
-
6·25 전사자 9명 신원 확인 '가족 품으로'
6.25 전쟁 때 전사한 고 빈원식 이등상사와 이광수 일병 등 국군 유해 9명의 신원이 확인돼 가족 품에 안기게 됐습니다.
9명의 신원이 동시에 확인된 것은 유해 발굴 사업 이후 처음입니다.
보도에 강필성 기자입니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최근 강원도 철원과 양구 등지에서 발굴한 고(故) 빈원식 이등상사와 이광수 일병 등 국군전사자 9명의 신원을 확...
방송일자 : 2012.01.18
-
남한 무역총액, 북한의 200배 넘어
북한의 주요 통계지표가 나왔는데, 남북간 격차가 더욱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남한의 국민소득은 북한보다 39배 많았고, 무역액은 무려 200배 이상 차이가 났습니다.
강석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북한의 주요 통계지표를 보면 남북한의 소득 격차가 더욱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항목별로 보면 남한의 명목 국민소득은 1조14...
방송일자 : 2012.01.18
-
이공계 기피 현상, 해법은 없나
이공계 기피 현상이 어제 오늘의 얘긴 아니지만, 젊고 유능한 인재들의 의대 쏠림 현상은 우려할만한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이공계 기피 현상, 어떻게 풀어야 할까요? 그 해법을 일자리에서 찾아봤습니다.
노은지 기자입니다.
10여 년 전 우리 사회에 이공계 기피라는 화두가 등장한 이후, 이 같은 현상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이공...
방송일자 : 2012.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