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FTA, 긍정적 영향`
한미 FTA 체결은 한국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성장률과 잠재력을 끌어올리는 데 기여할 것이라는 연구보고가 나왔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이 대통령 자문기구인 국민경제자문회의의 민간 자문위원으로 각 분야 전문가 28명을 위촉하고 어윤대 고려대 총장을 부의장으로 지명하는 등, 참여정부 제 4기 자문회의를 구성했습니다.
국민경제자문회의는 대통령 주재로 ...
방송일자 : 2006.07.14
-
`부동산 거래세 연내 최대한 인하`
방송일자 : 2006.07.14
-
판교 중대형 주택채권입찰제 도입
방송일자 : 2006.07.14
-
오늘의 브리핑 -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확정
방송일자 : 2006.07.14
-
생방송 국정네트워크 (134회)
단순 비교, 여론 오도 / `한미 FTA협상` 구체적 진전 / 한미 FTA, 의약품·섬유 등 팽팽 / `FTA 범정부 홍보팀 구성 협의중` / `개성공단 원산지 관철 끝까지 최선` / 남북 장관급 회담 종료 / 중·러, 완화된 안보리 결의안 제출 / 한미 연합사 체제, 독자사령부 체제로 전환 / 교육부 외고모집 지역제한 예정대로 / 오늘의 브리핑 - 건설교통부
방송일자 : 2006.07.13
-
단순 비교, 여론 오도
지난 4일 MBC PD 수첩은 멕시코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을 맺은 뒤 경제가 파탄 상태에 이르렀다는 내용의 방송을 했습니다.
이에 대해 청와대 이백만 홍보수석은 한국과 멕시코의 상황이 크게 다른데도 두 나라를 단순 비교해 국민 여론을 오도했다고 비판했습니다.
청와대 이백만 홍보수석은 한미 FTA에 대한 반대의 이유로 자주 거론되고 있는 멕시코 경제파탄의...
방송일자 : 2006.07.13
-
`한미 FTA협상` 구체적 진전
한미 FTA 2차 협상이 나흘째 접어들었습니다. 협상이 계속되면서 한미 양측간에 좀 더 구체적이고 세밀한 부분까지 의견 접근을 이뤄가고 있습니다.
한미 양측은 상품 분야의 양허, 즉 개방의 단계를 5단계로 나누어 진행시킨다는데 합의했습니다.
김종훈 수석대표는 협상 중간결과 브리핑을 통해 상품 분야 개방대상을 품목에 따라 즉각 철폐와 3년, 5년, 10...
방송일자 : 2006.07.13
-
한미 FTA, 의약품·섬유 등 팽팽
협상 나흘째를 맞아 진전을 본 내용도 있지만 아직 넘어야 할 산들도 남아 있습니다. 남은 기간 동안 한미 양측이 풀어야 할 주요쟁점과 과제들을 알아보겠습니다.
가장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분야는 개성공단 제품의 한국산 인정 여부와 정부의 약가 적정화 방안을 둘러싼 의약품 공방, 그리고 섬유와 농산물 분야입니다.
우선 개성공단 문제에 대해 현재 미국 측은 ...
방송일자 : 2006.07.13
-
`FTA 범정부 홍보팀 구성 협의중`
범정부적인 FTA 홍보팀이 곧 구성될 것으로 보입니다. 진동수 재정경제부 제2차관은 13일 정례브리핑에서 일반국민에 대해 FTA와 관련한 오해를 없애고 진실을 알리려는 노력을 지금보다 보강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관계부처간에 구체적인 방안을 협의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진 차관은 가능한 한 현재 하고 있는 체계대로 가져가면서 비판적 견해를 가진 국민들에 대한 설...
방송일자 : 2006.07.13
-
`개성공단 원산지 관철 끝까지 최선`
방송일자 : 2006.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