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배너 닫기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2024.6.4~6.5 윤석열 정부 출범 2주년 성과·과제 정책이슈 바로가기 2024 KTV 편성개방 국민영상제(제5회)
본문

지역마다 지역을 대표하는 우리의 전통음식이 있지요.

그런데 전통음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지 못해서 우리음식을 세계화하는데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농촌진흥청은 9년에 걸쳐 전통 향토음식을 10권의 책으로 집대성했습니다.

김현아 기자>

인삼정과, 육회비빔밥, 꼬막무침.

전국을 대표하는 음식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이런 향토음식 자원을 담은 ‘한국전통향토음식대관’이 발간돼 국가차원에서 전통향토음식이 통합관리됩니다.

농촌진흥청은 지난 1999년부터 전국 9개 도의 전통향토음식을 조사 발굴하고, 지역성과 역상성 검증 등 9년에 걸친 작업 끝에 전통향토음식 정보를 10권의 책으로 집대성했습니다.

한국 전통향토음식 대관에는 3,300여종에 이르는 향토음식과 조리법, 음식 정보 등이 담겨 있습니다.

첫 권은 우리나라 어느 지역에서나 일상적으로 먹는 '상용음식'으로 구성됐고 나머지 9권에는 각 지역별 음식이 수록됐습니다.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전통음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우수한 우리 전통 음식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전략적 활용방안과 산업화 모델 개발 등이 함께 이뤄져야 합니다.

우리 음식이 지닌 건강 기능성이 주목받고 있는 만큼 향토음식 자료들이 한식 세계화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