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일제 수탈기관, 문화예술공간으로 탈바꿈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일제 수탈기관, 문화예술공간으로 탈바꿈

등록일 : 2023.03.22

박수민 앵커>
일제강점기 당시 동양척식주식회사는 대표적인 경제수탈기관으로 악명이 높았는데요.
대전에 남아 있는 옛 건물이 100년 만에 복원되면서 문화예술공간으로 재탄생했습니다.
박혜란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박혜란 국민기자>
(옛 동양척식주식회사 대전지점 / 대전시 동구)
지난 1922년에 지어진 동양척식주식회사 대전지점의 옛 모습, 일제가 세운 경제수탈 기관이었는데요.
광복 후에는 대전전신전화국, 1980년대에는 상점으로 쓰였는데요.
100년 만에 '헤레디움'이라는 문화예술공간으로 재탄생했습니다.
'헤레디움'은 유산으로 물려받은 토지라는 뜻의 라틴어, 2층 규모인 이 건물은 지붕 중앙장식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을 이루고 있고 상부를 가로지르는 부분을 입체적인 조각으로 꾸민 것이 특징입니다.
지난 2년간 건물 보수와 복원 작업에 참여한 전문가는 그 의미가 크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이상희 / 목원대 산학협력단 교수
"근현대사의 아픈 과거와 미래 지향적인 새로운 문화공간으로서 미래를 같이 접목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됐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새롭게 단장된 1층에서 열린 음악 연주회, 감미로운 선율이 흐릅니다.
이곳을 찾은 시민들은 대전 옛 도심에 생긴 문화공간을 반깁니다.

인터뷰> 백남우 / 대전시 동구
"물론 (일제) 수탈 건물이기는 하지만 근대도시인 대전의 정체성에 맞게 (활용해서)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됩니다."

1층과 2층에 마련된 전시공간, 100년 전의 천정과 유리창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어 눈길을 끄는데요.

현장음>
"천정 슬래브나 빔 같은 게 옛날 그대로이고 창틀이나 창문도 보니까 옛날하고 똑같이 보존되어 있네요."

건물이 들어선 곳은 조선인들이 살았던 지역과 이주한 일본인 보호를 위한 공공기관이 설치된 지역의 경계 지점, 동양척식주식회사의 역사성과 함께 복원 과정을 엿볼 수 있는 2백여 점의 사진 전시가 열렸습니다.

인터뷰> 함선재 / 헤레디움 관장
"대전에 있는 동양척식주식회사가 어떻게 만들어졌고 무슨 용도로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이야기와 동양척식주식회사가 있는 인동의 근대와 현대에 관한 이야기를 조명하고 있습니다."

관광객들은 지난 역사를 돌아보게 하는 전시에 관심을 보입니다.

인터뷰> 김종수 / 세종시 한솔동
"전시 내용들을 보니까 이런 역사적인 사건들 속에서 굉장히 우뚝 자리를 지키고 있던 근대 건물이구나라는 것을 새롭게 알게 됐고..."

인터뷰> 이진영 / 서울시 영등포구
"역사적인 건물을 통해 잊고 있었던 과거의 기억과 아픔을 다시 생각하는 아카이빙 전시가 뜻깊게 진행된 것 같고요."

이번 전시는 104년 전 대전 인동 만세운동이 일어났던 3월 16일부터 시작돼 그 의미를 더하고 있는데요.
근대유산을 문화공간으로 만든 것은 한 재단을 중심으로 민간 차원에서 추진한 것, 뼈아픈 역사의 기억을 뒤로 하고 새로운 역사의식을 부여하기 위해서입니다.
관심을 끄는 이곳에서는 앞으로 연주회와 전시가 계속 열리게 됩니다.

(취재: 박혜란 국민기자 / 촬영: 양만호 국민기자)

박혜란 국민기자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경제수탈기관건물이 문화예술공간으로 탈바꿈했는데요. 이제 가슴 아픈 과거를 뛰어넘어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공간으로 자리 잡길 기대해봅니다."

국민리포트 박혜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