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톡톡 사이다경제 화~수요일 04시 50분

톡톡 사이다경제(467회)

등록일 : 2021.06.10

2050 탄소중립 실현 가속화 녹색건축 활성화 방안은?

김용민 앵커>
다음은 ‘경제&이슈’ 시간입니다.
정부가 기존 건축물과 신규 건축물 특성을 반영한 그린 리모델링과 제로에너지 건축물 맞춤형 지원과제를 담은 ‘녹색건축 활성화 방안’을 내놨습니다.
공공과 민간 전 분야를 아우르는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세부 과제들을 정철진 경제평론가와 자세히 살펴봅니다.

(출연: 정철진 / 경제평론가)

김용민 앵커>
전 세계가 코로나19에 백신으로 반격을 시작한지 6개월이 지났습니다.
각국 백신접종률 증가로 인해 신규 감염자수는 감소세를 보이면서 외국관광객 입국을 위한 제도를 완화해 나가고 있는데요.
각국 현황 살펴봅니다.

김용민 앵커>
국내는 지난 7일 하루 백신 접종량이 87만 건으로 최다 기록을 보이면서, 백신 접종 목표치를 앞당길 수 있다는 기대가 높아졌습니다.
국내 현황 짚어봅니다.

김용민 앵커>
먼저 우리 정부는 지난해 한국판 뉴딜 주요 과제 중 하나로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 지원방안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는데요.
현재 어느 정도 진행되고 있을까요?

김용민 앵커>
이처럼 공공부문 그린리모델링 사업이 활기를 띠면서 그린뉴딜 정책 이행에 속도가 더해질 전망입니다.
더욱 가속화하기 위한 공공 그린리모델링 주요 지원사업 계획을 살펴봅니다.

김용민 앵커>
정부는 공공분야 그린리모델링 사업을 통해 결국 민간 부문으로 확산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민간건축에 대한 그린리모델링 지원과 저변확대 계획은 어떤가요?

김용민 앵커>
기존 건축물에 대한 리모델링 지원이 확대되는 한편 신규 건축물에 대해서는 출발부터 제로에너지를 실천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할텐데요.
신규 건축물에 대한 제로에너지화를 위한 계획은 무엇일까요?

김용민 앵커>
그 밖의 경제이슈 살펴봅니다.

김용민 앵커>
세계 경기 회복 흐름세 속에 수출이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은이 4월 경상수지 잠정치를 발표했는데요.
12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하고 있죠?

김용민 앵커>
1분기 우리 경제성장률이 1.7%를 기록하면서 코로나19 발생 이전의 경제 규모를 회복한 걸로 나타났습니다.
이렇게 되면 올 연간 성장률도 전망치 4.0%를 넘어설 수 있다는 분석들이 나오고 있는데요.
어떤가요?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정철진 경제평론가 였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