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배너 닫기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2024.6.4~6.5 윤석열 정부 출범 2주년 성과·과제 정책이슈 바로가기 2024 KTV 편성개방 국민영상제(제5회)
본문

톡톡 사이다경제 화~금요일 05시 10분

톡톡 사이다경제 (674회)

등록일 : 2022.07.14

한은 기준금리 0.5%p 인상

임보라 앵커>
기록적인 고물가 상황과 미국의 가파른 기준금리 인상 속도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은행이 사상 처음으로 0.5%p 빅스텝 금리인상을 결정했습니다.

김유나 앵커>
통상적인 금리인상 폭보다 커진 이유, 이로 인한 시장에 미칠 파급효과들을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장과 자세히 점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연: 이인철 / 참조은경제연구소장)

임보라 앵커>
물가 상승 억제와 경기 침체 차단 중 한국은행은 우선 물가를 잡아야 한다는 선택입니다.
빅스텝 금리인상을 단행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들, 살펴볼까요?

김유나 앵커>
곧 임박해진 한미 금리역전도 빅스텝을 밟은 이유 중 하나죠.
하지만 미 연준이 또 다시 0.75%p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 금리인상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금리역전 우려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한미 기준금리가 역전되면 국내 환율, 물가, 증시 등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들이 미치는 건가요?

임보라 앵커>
문제는 금리인상 폭이 크다 보니 경기 침체는 빠르게 오는 데 비해 물가가 늦게 잡히는 경우입니다.
자칫 경기침체 속 물가 상승, 즉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져 상황이 더 악화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게 되죠.
위기감이 갈수록 커지는 스태그플레이션에 대응할 방법이 있을까요?

김유나 앵커>
그간 불패라 불리던 강남권 아파트 가격이 최근 하락하고 매수 심리도 떨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것도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파급효과일지, 기준금리 급등이 부동산 시장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요?

임보라 앵커>
그밖의 경제이슈 살펴봅니다.
수도권과 서울을 오가며 출퇴근 하시는 분들 중 광역버스를 이용하는 분들 많으실 텐데요.
최근 거리두기 완화와 고유가로 대중교통 이용이 증가하면서 광역버스를 입석으로 승차하는 이용객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승객들의 불편이 가중되자 정부가 시급히 해결방안을 내놨죠?

김유나 앵커>
네, 이번에는 고용 상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6월 취업자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84만 1천명 늘어나 고용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일상회복과 함께 대면 업종 고용 등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죠?

임보라 앵커>
지금까지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장이었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